행사목적
세계 곳곳에서 베이비붐 세대들의 은퇴와 저출산이 본격화되면서 다음 세대의 소비 주역이
나타날 때까지경제는 인구절벽의 아찔한 상황에 놓이게 된다. 인구 변동은 운명이다.
인정하든 인정하지 않든 우리는지금 인구 절벽을 향해 위태롭게 달려가고 있다.
<2018 인구절벽이 온다>의 저자 해리덴트는 이렇게 지적했다.“한국은 2018년 이후
인구 절벽 아래로 떨어지는 마지막 선진국이 될 것이다. 그 후 수십 년간 소비 흐름의
하락세가 중단 없이 이어질 것이다. 베이비붐세대가 고점에 도달하면서 앞으로
몇 년 이내에 전 세계 주요 국가들이 일본을 따라 식물경제에 빠질 것이다. 지금보다
더 큰 규모의 부양책을 쓴다 해도 경제 상태는 비틀거리는 수준에서 유지될 것이다.”
올 8월 신생아 수가 월간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00년 이후 8월로는 가장 적었다.
신생아 수는 올해 들어 매달 최저 기록을 경신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올해 연간 신생아 수는
36만 명 수준에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가 지난해 내놨던 장기 인구전망의 가장
비관적인 예측보다도 2년 앞서 신생아 수가 36만 명대로 떨어지는것이다.
통계청이 발표한 ‘2017년 8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8월 출생아 숫자는 1년 전보다
10.9% 줄어든 3만200명으로 집계됐다. 월간 출생아 숫자는 지난해 12월 이후 계속 두자릿수
감소율을 기록하고 있다.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누적 출생아 숫자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2.2% 준 24만8000명이다. 정부는 올해 연간 출생아 숫자가 36만명에 그칠 것으로 전망한다.
역대 최저였던 지난해 40만6200명에도 못 미친다. 출생아 숫자보다 더 줄어든 건 혼인건수다.
8월 혼인건수는 전년동월대비 12.6% 급감한 2만100건이다. 감소율만 보면 지난해 12월(14.7%)
이후 최대다. 8월까지 누적 혼인건수는 5.9% 줄었다.
주지하다시피 출산율 저하와 인구감소는 노동력수급 불균형 및 성장활력의 둔화 등
국가 운영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그런가 하면 많은 개도국들은 거꾸로 적정 인구 이상의
출산으로 인해 인구의 질 유지와 부양 부담의 과중에서 큰 고통을 겪고 있다.
이렇듯 세계가 인구이슈로 인해 몸살을 앓고 있는 가운데 이에 대한 해법을 찾기 위해
그간 크고 작은 토론회와 세미나들이 개최됐다. 그러나 국내는 물론 국제적으로도
필요에 따라 수시로 행사를 개최할 뿐 이 문제의 토론을 위한 연례적 만남의 장을
제공하는 곳이 거의 없었다.
이에 파이낸셜뉴스와 (사)서울인구포럼은 인구와 관련된 학술논문의 발표는 물론
각국의 인구정책에 관한 경험을 공유하며 경우에 따라 정부와 시민사회단체들간의 국내 및
국제적 협업을 도모하는 장을 제공할 목적으로 서울인구심포지엄을 창립, 올해 첫 대회를
개최한다.
향후 심포지엄의 개최시기는 세계 인구의 날이자 우리나라에서도 법정 인구의 날인
7월 11일에 개최하기로 하되, 창립 첫해인 올해는 준비 등의 일정 관계로
11월에 첫 대회를 치르게 되었음을 알려드린다.
창립 첫 해인 올해의 포럼은 1부 오전 세션과 2부 오후 세션으로 나누어 진행한다.
1부에서는 국내외의 인구 학자들 및 관계자들의 발제와 토론을 통해 인구문제에 관한
글로벌 트렌드를 개관하며, 2부에서는 한국사례에 초점을 맞춰 출산율 급감으로 인한
지역과 산업의 타격을 다루기로 한다.
앞으로 이 토론의 장이 인구문제를 토론하고 해법을 모색하며 그 지혜를 축적하는
소중한 만남의 장이 되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을 약속 드리며 관련 분야 전문가들과
관심있는 분들의 적극적인 동참을 부탁드린다.
행사개요
행사명 : 제1회 서울인구심포지엄
주 제 : 인구절벽과 미래위기 - 경제패러다임의 변화와 대응
일 시 : 2017년 11월 16일 목요일 09:00 ~ 15:00
장 소 :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 파크볼룸(5F)
주 최 : 파이낸셜뉴스, 서울인구포럼
후 원 : 보건복지부, 여성가족부,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인구보건복지협회, 한국여성단체협의회
문 의 : Tel. 02-6965-0015 / Mail. hy4452@fnnews.com
구 분 |
시 간 |
프로그램 |
등록 및 접수 |
08:00 ~ 09:00 |
네임택 발급 |
개막식 |
09:00 ~ 09:30 |
<개막사> 전재호 파이낸셜뉴스 회장 <환영사> 이재인 (사)서울인구포럼 대표 <축 사> 양승조 국회보건복지위원회 위원장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 나경원 자유한국당 의원 (前 국회 저출산·고령화대책특별위원회 위원장) |
기조연설 |
09:30 ~ 09:50 |
파비엥 페논 주한 프랑스 대사 |
세션I. 세계 초저출산 현상의 장기화와 미래위기 |
||
강연 |
10:00 ~ 10:30 |
이철희 서울대학교 교수 |
10:30 ~ 11:00 |
지에화 루 북경대학교 교수
|
|
11:00 ~ 11:30 |
노리코 츠야 게이오대학교 교수 |
|
패널토론 |
11:30 ~ 12:00 |
<좌장> 김용하 순천향대학교 교수(前 보건사회연구원장)
<패널> 지에화 루 북경대학교 교수 노리코 츠야 게이오대학교 교수 신언항 인구보건복지협회 회장 이태규 한국경제연구원 연구위원 |
12:00 ~ 13:00 오 찬 |
||
세션II. 대한민국 인구의 미래 : 지역의 소멸, 산업의 소멸 |
||
특별기조강연 |
13:00 ~ 13:30 |
송재호 지역발전위원회 위원장 |
강연 |
13:30 ~ 14:00 |
육동한 강원연구원 원장 |
14:00 ~ 14:30 |
이진면 산업연구원 산업통계분석본부 본부장
|
|
패널토론 |
14:30 ~ 15:00 |
<좌장> 이철희 서울대학교 교수 <패널> 이강호 보건복지부 인구아동정책국장 육동한 강원연구원 원장 이진면 산업연구원 산업통계분석본부 본부장 이상호 고용정보원 일자리사업평가팀 연구위원 |
※프로그램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
파비앙 페논
주한 프랑스 대사
-
이철희
서울대학교 교수
-
지에화 루
북경대학교 교수
-
노리코 츠야
게이오대학교 교수
-
김용하
순천향대학교 교수 (前 보건사회연구원장)
-
신언항
인구보건복지협회 회장
-
이태규
한국경제연구원 연구위원
-
육동한
강원연구원 원장 (前 국무총리실 국무차관)
-
이진면
산업연구원 산업통계분석본부 본부장
-
이상호
한국고용정보원 일자리사업평가팀 연구위원
-
이강호
보건복지부 인구아동정책국장
-
송재호
지역발전위원회 위원장

<학력>리용고등상업학교파리정치학교국립행정대학원 (1997년 학위 취득) <경력> 1995년-1997년 : 국립행정대학원 1997년-2000년 : 외교부 북아프리카중동국 2000년-2001년 : 외교부 외교정책&공동안보국 2001년-2002년 : 주EU프랑스대표부 1등 서기관 2002년-2005년 : 주EU 정치안보위원회 프랑스대표부 차석 2005년-2007년 : 주영대사관 2등 참사관 2007년-2010년 : 외교부 정책안보국 UN•국제기구•인권• 프랑코포니과 과장 2010년-2012년 : 외교부 EU국 역외관계담당관 2012년 5월 : 대통령비서실 외교보좌관 아메리카, 러시아, 발칸, 역외 동유럽, 코카서스, 중앙아시아, EU역외관계 담당 2015년 9월 14일 : 주한 프랑스 대사 신임장 제정

<학력>1983-1988: 서울대학교 (경제학 학사)1988-1990: 서울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석사)1991-1996: 시카고대학교 (University of Chicago) 대학원 (경제학 박사) <경력>1990-1991: 한국개발연구원 연구원1993-1996: 시카고대학교 인구경제학 연구소 연구조교1996-1997: 시카고대학교 인구경제학 연구소 연구원 (Research Associate)1997-1998: 뉴욕주립대학교 (SUNY, Binghamton) 조교수1998-2002: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조교수2001-2013: 시카고대학교 인구경제학 연구소 선임연구원 (Senior Investigator)2002-현재: 미국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Research Economist2002-2008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부교수2003-2007: 일본 Hosei Institute of Aging 연구원2004-2005: 영국 University of Cambridge, Clare Hall, Visiting Fellow2008-현재: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2009-2010: UCLA 경제학과 방문교수2012-2012: 프랑스 INED(국립인구연구소) 방문연구원2016-2017: 영국 University of Oxford, Wolfson College, Visiting Scholar

지에화 루(Jiehua Lu) 씨는 북경 대학교 사회학과 교수이자 건강노화 및 발달학 센터 부국장을 역임하고 있다. 노년학, 인구 경제학, 인구와 환경 간의 상호 작용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루 박사는 요녕 대학교, 서던캘리포니아 대학교, 북경 대학교에서 각각 경제학 학사, 사회학 학사 그리고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84년에서 1994년까지 요녕 대학교의 인구 연구소에서, 그리고 1997년에서 2006년까지 북경 대학교의 인구 연구소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2007년부터 루 박사는 북경 대학교의 사회학과에서 재직중에 있다. 10개 이상의 주요 프로젝트에서 수석 연구원으로 활동했으며, “노인들의 바람직한 주거환경: 북경, 상해, 텐진, 충칭을 중심으로”, “중국 본토의 급속한 인구 고령화: 도전과 해결책”, “중국 지방에서의 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 요인”, 등의 70편 이상의 학술 논문을 발행했다.

노리코 츠야(Noriko Tsuya) 씨는 도쿄 게이오 대학교 경제학 교수이며, 캘리포니아 공과 대학교의 객원로도 활동했다. 시카고 대학교에서 인구 변동 및 사회 통계학을 전공하여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아시아 및 선진국의 출산 및 가족변화에 중점을 두고 연구를 하고 있으며, 일본과학자문위원회의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또한 후생 노동성 사회 보장 위원회의 회원이며 인구 위원회의 의장을 맡고 있다. 비교 관점에서의 결혼, 일 그리고 가정생활 (래리 범패스, 하와이 대학 출판부, 2004), 신중함과 강압: 유럽과 아시아의 복제 및 인간의 주체성, 1700-1900 (왕 펭 외, MIT 출판부, 2010), 인구 감소 및 일본의 경제 (니혼 게이자이 신문에 요시오 히구치와 공동 저술, 2009), 대체율 이하의 출산 시대의 가족 변화 (마코토 아토 외, 토코 대학 출판부, 2011).

<학력>성균관대학교 경제학과 학사 (1984)성균관대학교 경제학과 석사 (1986)성균관대학교 경제학과 박사 (1993) <경력>한국개발연구원 주임연구원 (1984-1994)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 (1994-1997)한국보건사회연구원 원장 (2008-2012)사회보장위원회 위원 (2013-2017)국민경제자문회의 위원 (2013-2017)규제개혁위위원회 위원 (2014-현재)한국재정정책학회 회장 (2010)한국연금학회 회장 (2014)한국경제연구학회 회장 (현재)

<학력> 1965-1972 : 성균관대학교 행정학과 졸업(행정학 학사) 1986-1988 :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보건학 석사) 1989.9-1991.9 : 영국 웨일즈대(경제학 석사) 2004.3-2007.2 : 연세대학교 대학원 의료법윤리학 박사과정(보건학박사) <경력> 1975. 1 : 행정고시 16회 1975 -1999. 6 : 보건복지부 1999. 7-2001. 5 : 대통령비서실 보건복지비서관 2001.5-2002.7.19 : 사회복지정책실장(관리관) 2002. 7. 2003. 3 : 보건복지부차관(정무직) 2003.7.1-2006.6 : 건강보험심사평가원장 2013.1-2017.3 : (재)중앙입양원 원장 2016.12-현재 :(사)인구보건복지협회 회장

미국 텍사스대(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한국경제연구원의 기획조정실장, 미래전략실장을 역임하였다. 주요 연구분야는 금융경제, 금융제도 및 감독, 산업정책, 성장전략 등이다. 금융감독원 금융감독자문위원, 대법원 자문위원 등 여러 정부 위원회 위원을 역임하였고 현재는 국민연금 성과평가보상전문위원회 위원을 맡고 있다. 다양한 언론매체에 기고하였으며 현재는 ‘파이낸셜 뉴스’에 정기적으로 컬럼을 기고하고 있다. 최근 주요 연구로는 『자본주의 신경제발전론:기업부국 패러다임』(2016, 공저), 『성장동력정책의 현황과 정책적 시사점』(2015), 『국내 은행의 다각화 구조와 영향에 관한 연구』(2011) 등이 있다.

<학력> 춘천고등학교 졸업한양대학교 경제학과 졸업미, 위스콘신주립대 공공정책학석사 <경력> ‘10.8-’13.3 국무총리실 국무차장‘14.8-현 강원발전연구원 원장, 강원도평생교육진흥원 원장‘13.4-’15.4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초빙교수 ‘13.9-현 한양대학교 정책과학대학 특훈교수‘14.8-현 2018평창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 집행위원‘14.9-현 법무부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이사‘15.10-현 강원창조경제혁신센터 이사장‘16.6-현 국무총리 정부업무평가위원회 위원‘16.6-현 G1강원민방 시청자위원회 위원장‘16.9-현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자문위원‘17.1-현 전국시도연구원협의회 회장‘17.3-현 교육부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이사장

<학력> 1978.03-1981.02 휘문고등학교 졸1981.03-1985.02 성균관대학교 농업경제학과 졸(경제학 학사)1985.03-1987.02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농업경제학과 졸(경제학 석사)1993.03-1998.08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농업경제학과 졸(경제학 박사) <경력> 1989.04-1989.11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수산경제실, 연구원 1991.04-1991.09 國際東아시아硏究센터(ICSEAD, 日本北九州), 객원연구원1994.03-1994.08 성균관대학교 농업경제학과 시간강사1995.12-1996.11 總合硏究開發機構(NIRA, 日本東京), 객원연구원1998.08-1999.08 상명대학교 경제학과 시간강사1989.12-2003.06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원, 주임연구원, 전문연구원2003.06-2008.08 산업연구원(KIET) 부연구위원, 연구위원2008.09-2010.12 보험연구원(KIRI) 연구위원2011.01-현재 산업연구원(KIET) 연구위원

<학력>경북대학교 경제학 박사, 2009 <경력>(현) 한국지역고용학회 이사2015. 2. ~ (현) 한국고용정보원 일자리사업평가팀 2002. 3. - 2015. 2. : 한국노동연구원, 전문위원(노동패널팀장)

<학력>o 2006, 서울대 행정대학원 행정학 박사o 2003, 하버드대 캐네디스쿨 행정학 석사o 1993, 서울대 행정대학원 석사o 1990, 서울대 경제학과 학사 <경력>o 2016-현재, 보건복지부 인구아동정책관o 2015-2016, 기획재정부 부대변인o 2006-2015, 기획예산처 과장o 1998-2001, 대통령비서실 행정관

<학력>79. 2. 제주 제일고 졸업87. 2. 연세대 정치외교학과 졸업93. 2. 경기대 대학원 관광경영학과 졸업(석사)97. 2. 경기대 대학원 관광경영학과 졸업(박사) <경력>06. ~ 08.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원장06. ~ 08.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위원06. ~ 08. 대통령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위원06. ~ 08. 대통령직속 정책기획위원회 위원17. 5. 국정기획자문위원회 정치행정분과위원17. 現행정자치부 자치분권전략회의 위원00. ~ 현재. 제주대학교 관광개발학과 교수17. 8. 現지역발전위원회 위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