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의도
2017년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1.05수준으로 하락했습니다. 이런 추세라면
2018년에는 1.0수준 이하로 붕괴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2005년부터
출산율 회복을 위한 범국가적인 대책 추진했음에도 출산율은 획기적으로 개선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출생아 수는 35만6000명까지 떨어져 매년 사상 최저를
경신 중입니다.
초저출산 현상은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일본 대만 싱가폴 홍콩 등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점에서 저출산 현상의 사회적·문화적 요인에 대한 다양한
시각에서의 점검이 필요합니다. 이들 국가는 가부장 중심의 유교문화에서 빠르게
벗어나고 있지만, 이러한 변화가 새로운 '가족' 개념으로 승화하지 못하고 가족 자체가
흔들려, 결혼이 늦어지는가 하면 결혼을 하더라고 자녀를 최소한 갖는 방향으로
이어져 저출산 현상이 심화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습니다. 가족의 소중함이
회복되지 않고서는 저출산 문제도 개선될 수 없습니다. 초저출산 문제와 가족 기능의
약화 현상을 연결 분석하고, 변화하는 가족기능의 회복을 위한 정책방안을 광범위하게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 저출산문제 해결의 지평을 확대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에 'First-Class 경제신문' 파이낸셜뉴스와 (사)서울인구포럼은 '가족복원,
새로운 가족주의'라는 주제로 제2회 서울인구심포지엄을 개최합니다.
세계 인구의 날인 7월 11일 개최되는 이번 심포지엄 첫 번째 세션에서는 초저출산
현상의 발생 원인으로 가족의 변화 현상을 분석하기 위해서 우리나라에 앞서
초저출산 현상을 경험하고 있는 일본과 유럽국가 중 비교적 가부장적 문화가
강한 오스트리아, 그리고국내 석학들의 날카로운 시각을 조명합니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새로운 가족주의 형성 과정을 철학적 관점에서 들어보는
특별기조강연에 이어, 가족의 복원과 새로운 가족 형성을 위한 사회정책 및
가족정책의 역할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올해로 2회째를 맞는 서울인구심포지엄이 한국 사회 최대 난제 중 하나인 인구문제를
토론하고 해법을 마련하는 만남의 장이 될 것을 약속드리며 적극적인 동참을
부탁드립니다.
행사개요
행사명 : 제2회 서울인구심포지엄
주 제 : 가족복원, 새로운 가족주의
일 시 : 2018년 7월 11일 수요일 09:00 ~ 15:00
장 소 :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 파크볼룸
주 최 : 파이낸셜뉴스, 한국바이오협회, (사)서울인구포럼
후 원 : 보건복지부, 여성가족부,
대통령직속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인구보건복지협회,
한국여성단체협의회, 한국어린이집총연합회150,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사회보장학회
문 의 : 서울인구포럼 사무국
Tel. 02-6965-0013
Email. younhyun55@fnnews.com
구분 |
시간 | 프로그램 | |
참가등록 |
08:00 ~ 09:00 |
참가접수 및 네임택 발급 |
|
개막식 |
09:00 ~ 09:35 |
<개막사> 김주현 파이낸셜뉴스 사장 <환영사> 이재인 (사)서울인구포럼 대표 <축 사>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 |
|
기조연설 |
09:35 ~ 09:50 |
김상희 대통령 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 |
|
세션1. 가족의 변화와 초저출산 |
|||
강연 |
09:50 ~ 10:20 |
조성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부연구위원 |
|
10:20 ~ 10:50 | 토마스 펜트 비트겐슈타인 인구 및 글로벌인적자원센터 인구경제학자 |
||
10:50 ~ 11:20 |
토루 스즈키 일본 국립사회보장인구문제연구소 정책관 |
||
패널토론 |
11:20 ~ 12:00 | <좌장> 조성한 중앙대학교 교수
<패널> 조성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부연구위원 토마스 펜트 비트겐슈타인 인구 및 글로벌인적자원센터 인구경제학자 토루 스즈키 일본 국립사회보장인구문제연구소 정책관 박경숙 서울대학교 교수 |
|
12:00 ~ 13:00 오 찬 |
|||
세션2. 초저출산 극복을 위한 가족친화적 정책 |
|||
강연 |
13:00 ~ 13:30 |
김진욱 서강대학교 교수 |
|
13:30 ~ 14:00 |
신경아 한림대학교 교수 |
||
패널토론 |
14:00 ~ 15:00 |
<좌장> 김용하 순천향대학교 교수
<패널> 김진욱 서강대학교 교수 신경아 한림대학교 교수 김대환 동아대학교 교수 이정심 여성가족부 가족정책관 |
-
조성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부연구위원
-
토마스 펜트
비트겐슈타인 인구 및 글로벌인적자원센터 인구경제학자
-
토루 스즈키
일본 국립사회보장인구문제연구소 정책관
-
조성한
중앙대학교 교수
-
박경숙
서울대학교 교수
-
김진욱
서강대학교 교수
-
신경아
한림대학교 교수
-
김용하
순천향대학교 교수
-
김대환
동아대학교 교수
-
이정심
여성가족부 가족정책관

<학력> 1996-2003 한양대학교(안산) 경제학부 2005-2007 일본 게이오 대학 경제학 석사 2007-2013 일본 게이오 대학 경제학 박사 <경력> 2013.11-현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부연구위원 2013.4-2013.9 일본 오사카 상업대학 JGSS 연구센터 박사후 연구원 2012.4-2013.3 일본 게이오 대학 선도연구센터 연구원

토마스 펜트는 오스트리아 비트겐슈타인의 인구통계학 및 글로벌인적자원센터 인구경제학자이다. 그는 인구통계학적 행동에 미치는 사회적 영향에 초점을 맞추는 등 다양한 분야의 인구통계학 연구를 담당한다. 그는 관련 전문 잡지에 기사를 게재하거나, 가족의 형성, 출산, 역학 및 정책에 대한 책은 물론 노화의 경제학 인적 자본의 투자, 경제 성장에 관련한 책들을 편집했다. 그의 연구는 에이전트를 기반으로 한 모델, 수학공식을 이용한 방법, 컴퓨터 시뮬레이션 그리고 경험적 방법을 적용한다. 그는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 WZB-베를린 사회과학센터, 독일 로스토크 Max Planck 인구통계연구소, 비엔나대학교, 비엔나 공과대학교, 비엔나 의과대학교, 라 사피엔자 로마대학교, 이탈리아 파도바대학교, 루뱅 카톨릭대학교, 독일 밤베르그대학교, 오스트리아 다뉴브대학교, IMC 응용과학대학교 등에서 가르쳤다.

<학력> 1985 홋카이도대학교 사회학 학사졸업 1985 홋카이도대학교 사회학 석사졸업 1999 캘리포니아대학교 인구통계학 박사졸업 <경력> 1988 일본 보건복지부 인구문제연구소 인구정책연구부 연구원 1996 일본 국립사회보장인구문제연구소 국제연구협력부 선임연구원 2011 일본 국립사회보장인구문제연구소 집단구조연구부 이사 2018 일본 국립사회보장인구문제연구소 정책관

<학력> 1994. 미국 시카고 대학교 사회정책 박사 1990. 미국 시카고 대학교 정책학 석사 1984. 연세대학교 대학원 행정학 석사 1980. 연세대학교 행정학과 학사 <경력> (현) 중앙대학교 공공인재학부 교수 2014 – 2015 노사정위원회 산업안전혁신위원회 위원 2012 – 2013 행정자치부 정책자문위원(조직부문 위원장) 2011 – 2012 노사정위원회 산재예방시스템선진화위원회 위원 2007 한국조직학회 회장

<학력>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 학사 (1990)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 (1993) 미국 Brown 대학 사회학과 박사 (1998) <경력>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상근연구원 (1998-2000)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타 연구교수 (2000-2001) 동아대학교 교수 (2001-2006) 서울대학교 교수 (2006-현재)

<학력> 2004. 12. 영국 바스대학교(University of Bath) 사회정책학 박사 (Ph.D) 1998. 08. 연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석사 (MA) 1996. 08. 연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학사 (BA) <경력> 현) 서강대학교 사회복지학전공 교수 현) 한국사회보장학회 편집위원장 전)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총무이사, 감사

<학력> 서울대학교 영어교육학, 학사 서울대학교 사회학, 석사 서강대학교 사회학, 박사 <경력> 한국사회정책학회, 회장 한국여성학회, 이사 한국사회학회, 이사 한국가족학회, 이사 한국여성연구소 소장 등 역임 한림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현직)

<학력> 성균관대학교 경제학과 학사 (1984) 성균관대학교 경제학과 석사 (1986) 성균관대학교 경제학과 박사 (1993) <경력> 한국개발연구원 주임연구원 (1984-1994)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 (1994-1997)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원장 (2008-2012) 사회보장위원회 위원 (2013-2017) 국민경제자문회의 위원 (2013-2017) 규제개혁위위원회 위원 (2014-현재) 한국재정정책학회 회장 (2010) 한국연금학회 회장 (2014) 한국경제연구학회 회장 (2017) 한국사회보장학회 회장 (2018)

- 경제학 박사,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 (현) 동아대학교 경제학과 부교수 - (현) 한국연금학회, 한국사회보장학회, 한국보험학회, 한국경제연구학회, 한국리스크관리학회, 부동산정책학회 등의 이사 - (현) MARQUIS WHO'S WHO IN THE WORLD 등재 - (전) 보험연구원 고령화연구실 실장 - (전) OECD 보험 및 사적연금위원회 한국 대표단 - 연구분야 : 인구고령화, 보건경제, 보험경제, 계량경제

(현직) 여성가족부 가족정책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