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사목적
인구문제의 심각성은 하루 이틀 된 문제가 아닙니다. 인구감소, 지역소멸 등
섬뜩한
단어들이 방송·언론을 도배하다시피 하고 있습니다. 2017년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1.05명이었지만 지난해는 0.98명으로 추락했습니다. 인구 유지를 위해 필요한
합계출산율 2.1명의 절반에도 못 미칩니다. 국가 소멸론
까지 대두될 정도입니다.
정부도 저출산 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저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이 처음 발표된
2006년 이후 100조원이 훨씬 넘는 예산을 투입했습니다. 그러나 합계출산율 0명대
추락에서 보듯, 정책효과는 미미합니다. 오히려 악화되고 있습니다. 정부가 기획재정부,
교육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고용노동부 등
정부 부처와 한국개발원(KDI),
한국노동연구원 등 연구기관들을 동시에 참여시킨 태스크포스(TF)를 출범시킨 것도
인구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했기 때문입니다.
초저출산 현상은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일본, 대만, 싱가포르, 홍콩 등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들 국가는 모두 해법 마련에 성공을 거두지 못했습니다. 국가주도
정책으로 저출산 현상을 극복하겠다는 것은 성공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주는 실패사례입니다.
저출산 문제 해결의 지평을 확대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에 'First-Class 경제신문' 파이낸셜뉴스는 (사)서울인구포럼, 육아종합지원센터와
공동으로 '아이행복 세상, 지속가능한 미래사회
비전' 이란 주제로
'제3회
서울인구심포지엄'을 개최합니다. 경제성장 시기
펼쳤던 국가주도 인구정책의
한계를 넘어서기 위해 아이를 중심에 두고, 아이행복을 위해 국가와 사회는 어떤 정책을
내놔야 하는 지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국민의 인식이 개인과 가족 중심으로 바뀌었습니다.
인구정책 또한 시대 변화를 반영해야 합니다. 아이행복 추구를 정책 중심에 놓은 선진국의
사례를 유엔아동기금(UNICEF) 도미니크 리처드슨 이사가 기조
강연합니다.
정부는 출산율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펴고 있지만 여전히 애를 낳고 키우기
어려운
사회적 환경을 토로하는 젊은이들이 많습니다. 육아지원정책의 틀이 보완되어야 합니다.
특히 제3회
서울인구심포지엄에는 육아종합지원센터가 공동 주최자로 참여, 아이가
행복할 수 있는 육아지원시스템은 어떻게 구축돼야 하는 지에 관해 현장 목소리를
전합니다. 전국에서
공모된 18,000여 작품 사진
중 100여점을 선정해 전시하는
아이 행복 사진전도 정책심포지엄과 동시에 개최됩니다.
올해로 3회째를 맞는 서울인구심포지엄이 한국 사회 최대 난제 중 하나인 인구문제를
토론하고 해법을 마련하는 만남의 장이 될 것을 약속드리면서 적극적인 동참을 부탁드립니다.
행사개요
주 제 : '아이행복세상, 지속가능한 미래사회 비전'
일 시 : 2019년 7월 3일(수), 09:00 ~ 15:00
장 소 :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 대회의실
주 최 : 파이낸셜뉴스, (사)서울인구포럼, 육아종합지원센터
후 원 :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보건복지부, 여성가족부,
대통령 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생명존중시민회의, 인구보건복지협회
문 의 : 서울인구심포지엄 사무국
Tel. 02-6965-0015
E-mail. 8amwon@fnnews.com
구분 |
시간 | 프로그램 | |
참가등록 |
08:00 ~ 09:00 |
참가등록 |
|
개막식 |
09:00 ~ 09:30 |
<개막사> 남상인 파이낸셜뉴스 부사장 <환영사> 최철규 서울인구포럼 대표 유복림 전국시군구 육아종합지원센터협의회 회장 <축 사> 이명수 보건복지위원회 위원장 김강립 보건복지부 차관 |
|
시상식 |
09:30 ~ 09:40 |
아이행복 사진공모전 대상 시상 |
|
기조연설 |
09:40 ~ 10:20 |
<아이행복과 미래사회> 오 준 세이브더칠드런코리아 이사장 |
|
강연 | 10:20 ~ 10:40 | <아이행복권, 한국의 오늘과 내일> 이시형 신경정신과 박사 |
|
10:40 ~ 11:00 |
<아이행복 사회 조성을 위한 과제> 안재진 가천대학교 교수 |
||
11:00 ~ 11:20 |
<생명존중과 아이행복> 임삼진 생명존중시민회의 공동대표 |
||
패널토론 |
11:20 ~ 12:00 | <아이행복 지원시스템 현황과 과제> <좌장> 이봉주 서울대학교 교수
<패널> 고득영 보건복지부 인구아동정책관 김미숙 중앙대학교 교수 유복림 전국시군구 육아종합지원센터협의회 회장 황옥경 서울신학대학 교수 |
|
오찬 |
12:00 ~ 13:00 | 오찬 | |
공연 |
13:00 ~ 13:30 |
문화예술공연 |
|
종합시상식 | 13:30 ~ 15:30 |
아이행복 사진 공모전 |
-
이시형
신경정신과 박사
-
안재진
가천대학 사회복지학과 교수
-
임삼진
생명존중시민회의 공동대표
-
이봉주
서울대학 사회복지학과 교수
-
김미숙
중앙대학 아동복지과 교수
-
유복림
전국시군구 육아종합지원센터협의회 회장
-
황옥경
서울신학대학 보육학과 교수
-
고득영
보건복지부 인구아동정책관
-
오준
세이브더칠드런코리아 이사장


<학력> 1999 서울대학교 영어영문학과 학사 2002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석사 2008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 박사 <경력> 2014-현재 가천대학교 교수 2010-2014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과 비정년 교수 2008-2010 육아정책연구소 부연구위원

<학력> 서울대학교 철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도시계획학 박사 <경력> 생명존중시민회의 공동대표, 한국생명운동연대 운영위원장, 롯데케미칼 상임고문 녹색연합 사무처장, 한양대학교 연구교수, 대통령실 시민사회비서관, 롯데홈쇼핑 CSR동반성장위원장

<학력> 1981-1985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과 졸업 학사 1985-1987 Norfolk State University School of Social Work 석사 1988-1992 University of Chicago, School of Social Service Administration 박사 <경력> 2002-현재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과 부교수, 교수 1996-2002 미국 시카고 대학교 부교수(연구교수 겸임) 1994-1996 미국 보스턴 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조교수 1992-1994 미국 시카고대학교 체핀홀 아동정책센터 연구원

<학력> 1995 (미)메사추세츠 주립 대학 유아교육 전공 교육학박사 <경력> 2018-현재 대한아동복지학회 부회장 1999-현재 중앙대학교 대학원 아동청소년학과, 사회복지대학원 아동복지학과 교수

<학력> 1989-1990 프랑스 마르세이유 국립보육학교 1982-1984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77-1981 이화여자대학교 간호대학 <경력> 2012-현재 의왕시육아종합지원센터장 2010-2012 구로삼성어린이집, 원장 2004-2010 노블카운티삼성어린이집, 원장 1994-2001 삼성화재 신나라어린이집, 원장

<학력>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과 이학박사, 가정학 석사 영국 Dundee 대학 Social Work Dept. MPhil. 수료 한남대학교 가정교육과 가정학사 <경력> 한국아동권리센터 아동권리옴부스퍼슨 보건복지부/ 여성부 중앙보육정책위원회 위원 한국아동학회 편집위원 여성부자체평가위원 유니세프 아동친화도시 심의위원 이 다수의 정부기관 자문위원 역임

<학력> 서울대 사회복지학과, 서울대 행정학(석사) <경력> 2019 ~ 현재 보건복지부 인구아동정책관 2016 ~ 2017 보건복지부 보육정책관 2015 ~ 2016 보건복지부 한의약정책관 2014 ~ 2014 보건복지부 보험정책과장 2011 ~ 2014 보건복지부 의료자원정책과장

<학력> 1978 서울대 인문대 불어불문학과 1992 미국 스탠포드대 국제정책학 석사 <경력> 2018 ~ 현 재 세이브더칠드런코리아 이사장 2018 ~ 현 재 평창 동계 패럴림픽 홍보대사 2017 ~ 현 재 싱가포르 난양공대 국제문제연구소 방문교수 2017 ~ 현 재 경희대 평화복지대학원 교수 2013 ~ 2016 주 유엔 대사 2010 ~ 2013 주 싱가포르 대사 2008 ~ 2010 다자외교조정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