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의도
2021년에도 'K 바이오' 열풍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국내 제약 바이오업체들이 연초 신약개발과
기술 수출에 성공하는 등 잇따라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오픈이노베이션' 방식으로 신약을
개발하고, 신약물질을 넘어서서 플랫폼 기술을 수출하면서 K 바이오의 위상을 높이고 있습니다.
제약바이오기업들은 차세대 핵심 산업인 바이오헬스 분야 육성을 위해 2023년까지 약 10조원
규모의 민간 투자를 진행할 계획입니다. 정부도 바이오헬스 분야 연구개발(R&D) 예산을
30% 증액하는 등 적극적인 투자에 나서고 있습니다.
최근 주목받고 있는 것은 신약개발의 토대가 될 수 있는 '플랫폼 기술' 입니다.
차세대 신약개발 플랫폼은 신약후보물질 도출 가능성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짧은 시간에 다양한 신약개발을 가능하게 하는 원천기술이 되고 있습니다.
전세계적으로 신약개발을 위한 R&D 투자 비용은 더욱 커지고 있으며, 신약개발의 효율성과
다양한 의약품 개발을 위한 플랫폼 기술은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새로운 먹거리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최근 개발이 활발한 코로나 백신에도 플랫폼 기술이 적용됐습니다.
플랫폼 기술은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오가노이드, 3D 프린팅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바탕으로 신약개발 효율성을 높이는 핵심 동력입니다. 즉, 플랫폼 기술을 적용하면
신약개발을 위한 연구기간과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같은 약물이라도 다양한 신약으로
발전시킬 수 있어 제약업체들도 질병 치료를 목적으로 신약 기술을 이전할 수 있게 됩니다.
이에 파이낸셜뉴스는 제13회 서울국제신약포럼에서 'K 바이오' 핵심으로 주목받고 있는
신약개발 플랫폼 기술에 대해 관련 기관 및 전문가들과 논의하고자 합니다.
행사개요
행사명 : 제13회 서울국제신약포럼
주 제 : 신약개발 플랫폼 대전환
일 시 : 2021년 6월 17일(목) 09:00~12:00
장 소 : 서울 소공동 웨스틴 조선호텔 오키드룸(2층)
주 최 : 파이낸셜뉴스, 한국화학연구원
후 원 : 보건복지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식품의약품안전처,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한국바이오협회, 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
문 의 : 국제신약포럼 사무국
Tel. 02-6965-0026
Mail. cayley@fnmice.com
시간 |
구분 |
프로그램 |
|
08 : 00 ~ 09 : 00 |
참가등록 |
네임택 발급 | |
09 : 00 ~ 09 : 20 |
개막식 |
<개막사> 전선익 파이낸셜뉴스 사장 <환영사> 이미혜 한국화학연구원장 <축 사> 이원욱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 김강립 식품의약품안전처장 원희목 한국제약바이오협회장 |
|
09 : 20 ~ 09 : 50 |
기조강연 |
묵현상 국가신약개발사업 초대단장 |
|
09 : 50 ~ 10 : 10 |
강연 |
제이 브래드너 노바티스 생명의약연구소장 |
|
10 : 10 ~ 10 : 30 |
김성진 (주)메드팩토 대표이사 |
||
10 : 30 ~ 10 : 50 |
마이클 길슨 캘리포니아주립대학교 샌디에고 캠퍼스 교수 |
||
10 : 50 ~ 11 : 00 |
휴식 |
||
11 : 00 ~ 12 : 00 |
패널토론 |
<좌장> 김연수 충남대학교 신약전문대학원장 <패널> 이병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생명기술과장 조귀훈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진흥과장 김영만 산업통상자원부 바이오융합산업과장 최길돈 한국화학연구원 의약바이오연구본부장 이창선 (주)레고켐바이오사이언스 부사장 |
-
묵현상
국가신약개발사업단 단장
-
제이 브래드너
노바티스 생물의학 연구기관 대표
-
김성진
(주)메드팩토 대표이사
-
마이클 길슨
캘리포니아주립대학교 샌디에고 캠퍼스 교수
-
김연수
충남대학교 신약전문대학원 대학원장/교수
-
이병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생명기술과장
-
조귀훈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진흥과장
-
김영만
산업통산자원부 바이오융합산업 과장
-
최길돈
한국화학연구원 의약바이오 연구본부 본부장
-
이창선
(주)레고캠 바이오사이언스 부사장

[학력] 1983-1985 서울대학교 대학원 산업공학과 (석사) 1977-1981 서울대학교 산업공학과 (학사) [경력] 2021-현재 국가신약개발사업단 단장 2020-현재 코로나19 치료제.백신 신약개발사업단 단장 2016-현재 (재)한국공학한림원 정회원

[학력] 하버드대학 메디컬 스쿨 졸업 시카고대학 메디컬 스쿨 졸업 [경력] 2016-현재 노바티스 생물의학 연구기관 대표 2005-2015 하버드 의과대학 종양학과 교수원, Dana-Farber 암 연구소

[학력] 1981-2007 일본 Tsukuba 대학교(박사) 1972-1980 강원대학교(학사) [경력] 2012-현재 초빙교수, 츠바사 대학교 2016-2021 센터장, 정밀의학연구센터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서울대학교 2010-2016 암연구소 소장, 종합연구원 연구원장, 차대학교 석좌교수

[학력] 1981~1988 생화학 및 분자 생물물리학 박사 1977~1981 하버드대학교 생명공학 학사 [경력] 2010~현재 캘리포니아 대학 샌디에고 캠퍼스 CAD 의약품 디자인, Skaggs School 약학 및 조제학 교수 2001~2009 매릴랜드 대학 생물공학 센터 교수

[학력] 1984~1989 서울대학교 자연대학 미생물학과 바이러스학 이학박사 1987~1982 서울대학교 자연대학 미생물학과 미생물학 이학사 [경력] 2020-현재 범부처 생명연구자원선진화위원회 위원장 2015-현재 충남대학교 신약전문대학원 교수 2012-2014 한국연구재단 국책연구본부 생명공학단 단장 1989-1994 위스콘신 대학교 매디슨 캠퍼스 위촉 연구원

[학력]

[학력] 20.12 플로리다 주립 대학교 행정학 석사 [경력] 2021-현재 복지부 보건산업진흥과장 2017-2018 질본 기획조정과장 2015-2017 복지부 한의약산업과장

[학력] 서울대학교 외교학 학사 서울대학교 행정학 석사 [경력] 주중대사관 홍보지원팀 기획재정담당관실 동아시아FTA추진기획단

[학력] 포항공과대학교 생명과학과 포항공과대학교 생명과학과 대학원 포항공과대학교 분자생명과학부 대학원 [경력] 現 한국화학연구원 의약바이오 연구본부 분부장現 충남대학교 신약전문대학원 학연교수 現 보건복지부 제약산업 육성지원 실무위원회 위원

[학력] 서울대학교 화학과 학사 서울대학교 화학과 석사 예일대학교 유기화학 박사 오레곤주립대학교 천연물합성 박사 [경력] 쎄렐라지노믹스 천식, 항암제, 희귀질환 치료제 연구 PTC테라퓨틱스 천식, 항암제, 희귀질환 치료제 연구 란드바이오 신약연구 주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