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사목적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인구 재앙이 우리 사회의 미래를 짓누르고 있습니다.
지난해 우리나라 주민등록 인구는 모두 5182만9023명으로 전년도에 비해
2만838명(0.04%) 감소했습니다. 연간 기준으로 주민등록인구가 감소한 첫 해입니다.
충격적인 사실은 지난해 처음으로 출생자 수보다 사망자 수가 많아지며 인구가
자연감소하는 '인구 데드크로스' 국면에 진입했다는 점입니다. 특히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인 '합계출산율'은 지난해 0.84명을 기록해
0명대 수준에 도달하였습니다.
저출산과 함께 인구절벽의 핵심 축인 노령화도 한계상황으로 치닫고 있습니다.
유엔인구기금(UNFPA)에 따르면 고령화가 심화되는 가운데 우리나라의 14세 이하
인구비율은 일본과 함께 전세계에서 공동 최하위를 기록하였습니다. 프랑스, 독일,
일본 등 해외 주요 선진국도 저출산 고령화에 따른 사회적 위기에 봉착했습니다.
우리 정부도 인구절벽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지난 2006년부터 저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을 추진해 과감한 재정정책을 펼치고 있습니다. 지난해까지 무려 200조원에
달하는 재정을 쏟아 부었습니다. 그러나 막대한 재정 투입에 비해 인구절벽의 관성은
갈수록 악화되는 실정입니다.
내년 인구 지표는 더욱 암울합니다.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에 따른 경제 침체와 고용악화 및 결혼 연기 등 사회적 현상이 복합적으로 맞물려
저출산 기조가 더욱 심화될 전망입니다. 급격한 인구구조의 변화는 한 사회의 양과
질적 성장에 치명적입니다. 저출산 고령화가 저성장, 저소비, 높은 실업률로 대변되는
뉴노멀(New Normal)시대로 이어지고 나아가 사회의 양극화도 심화시키는
악순환의 고리가 될 수 있습니다.
이에 'First-Class경제신문' 파이낸셜뉴스는 (사)서울인구포럼,
전국시군구육아종합지원센터 협의회, 비영리단체 저출산고령화정책위원회와 공동으로
"'인구쇼크'의 도전과 응전-혁신적 국가전략의 모색"이란 주제로
'제4회 서울인구심포지엄'을 개최합니다. 특히 이번 행사에선 인구위기 극복을 위한
국가 재정의 효과적 운용과 대안을 집중 논의합니다.
특히, 코로나19를 극복하고 따뜻한 가정을 만들어 가는 모습을 담은
'아이행복 사진공모전 대상 시상식'을 개최합니다. 아울러 올해 전국 각계 각층의
인사들이 동참하며 이목을 끌고 있는 '저출산 극복 범국민 포(4)함 릴레이 챌린지'
연계 행사도 준비하였습니다.
올해로 4회째를 맞는 서울인구심포지엄이 한국 사회 최대 난제 중 하나인
인구문제를 토론하고 해법을 마련하는 범국가적 담론의 장이 될 것을 약속 드리면서
적극적인 동참을 부탁 드립니다.
행사개요
행사명 : 제4회 서울인구심포지엄
주 제 : '인구쇼크'의 도전과 응전-혁신적 국가전략의 모색
일 시 : 2021년 7월 7일(수), 13:00 ~ 18:00
장 소 :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 파크볼룸
주 최 : 파이낸셜뉴스, (사)서울인구포럼,
전국시군구육아종합지원센터협의회,
비영리단체 저출산고령화정책위원회
후 원 :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보건복지부, 여성가족부,
국민연금공단, 인구보건복지협회, 대통령 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문 의 : 서울인구심포지엄 사무국
Tel. 02-6965-0016
E-mail. hyewon.n@fnmice.com
시간 |
구분 |
프로그램 |
13:00 ~ 13:30 |
참가등록 |
|
13:30 ~ 14:05 |
개막식 |
<개막사> 전재호 파이낸셜뉴스 회장 이재인 (사)서울인구포럼 대표 김현익 전국시군구육아종합지원센터협의회 회장
<축사> 정영애 여성가족부 장관 김민석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위원장
|
14:05 ~ 14:15 |
시상식 |
행복한 우리아이 사진콘테스트 시상(대상, 최우수상) |
14:15 ~ 14:25 |
선포식 |
저출산 극복 전국민 릴레이 챌린지 기념행사 |
14:25 ~ 14:35 |
공 연 |
중창단 '일곱빛깔무지개' 저출산 극복 희망 공연 |
14:35 ~ 14:55 |
기조연설 |
서형수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 |
초저출산 경제사회적 파급효과와 재정 투자 | ||
14:55 ~ 15:15 |
강 연 |
<2020년 한국의 초저출산의 원인과 전망> 이삼식 한양대학교 부설 고령사회연구원 원장 |
15:15 ~ 15:35 |
<코로나 이후 국가재정의 여력과 전망> 박형수 K-정책 플랫폼 원장 |
|
15:35 ~ 15:55 |
<저출산 극복을 위한 재정투자 방안> 김용하 순천향대학교 IT금융경영학과 교수 |
|
15:55 ~ 16:15 |
<풍요로운 사회를 향한 은행의 아름다운 동행> 김진영 KB금융그룹 상무 |
|
16:15 ~ 17:00 |
패널토론 |
<좌장> 조성한 중앙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공공인재학부 교수
<패널> 최성은 한국조세재정연구원 재정정책연구본부 선임연구위원 신화연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원 최종균 보건복지부 인구아동정책관 장경희 서울 강북구 육아종합지원센터 센터장
|
17:00 ~ 18:00 |
만 찬
|
※상기 프로그램은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서형수
제2대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
-
이삼식
한양대학교 고령사회연구원 원장
-
박형수
K-정책 플랫폼 원장
-
김용하
순천향대학교 IT금융경영학과 교수
-
김진영
KB금융그룹 상무
-
조성한
중앙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공공인재학부 교수
-
최성은
한국조세재정연구원 재정정책연구본부 선임연구위원
-
신화연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원
-
최종균
보건복지부 인구아동정책관
-
장경희
서울 강북구 육아종합지원센터 센터장

<경력> 2016.05 ~ 2020.05 제20대 국회의원 2018.05 ~ 2018.08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부의장 2011.03 ~ 2015.12 풀뿌리사회적기업가학교 교장 2009.05 ~ 2010.03 제7대 경남도민일보 대표이사 사장 2008.12 ~ 2009.05 희망제작소 소기업발전소 소장 2007.03 ~ 2008.03 제15대 한겨레신문사 대표이사 사장 2004.08 ~ 2006.03 한겨레신문사 전무이사 2004.02 ~ 2005.09 대통령자문 고령화 및 미래사회위원회 위원 2003.03 ~ 2004.08 인터넷한겨레(한겨레초록마을) 대표이사

<학력> UN-ARE Cairo Demographic Center 졸업 (인구학 석사) 한양대학교 대학원 졸업 (사회학 박사) <경력> 한양대학교 부설 고령사회연구원 원장 한양대학교 정책과학대학 정책학과 교수 한양대학교 대학원 고령산업융합학과 교수 대통령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정책운영위원회 위원(세대공감분과위원장) 국회 저출생 및 인구절벽대응 포럼 자문위원 IOM 이민정책연구원 이사 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저출산고령화대책기획단 단장, 인구정책연구실장 등 전) 한국인구학회 회장 전) 한국인구교육학회 부회장 전) 국회 1.4포럼 자문위원 전) 국회 저출산고령화대책특별위원회 자문위원 전) 대통령실 여성가족비서관실 정책 자문위원회 위원 전) 기획재정부 중장기 조세정책심의위원회 위원 전) 보건복지부 자체평가위원회 위원(인구분과 소위원장) 전) 부총리 사회정책자문위원회 위원 전) 행정안전부 지자체 정부합동평가단 평가위원 전) 법무부 외국인정책실무위원회 위원 전) 법무부장관 이민정책자문위원회 위원 전) 교육인적자원부 교육과정운영위원회 위원 전) 국회예산정책처 국가주요사업평가 자문위원 전) 국민연금재정추계위원회 위원 전) 사학연금재정추계위원회 위원 전) 대통령자문 고령화및미래사회위원회 인구생활전문위원

<학력> 1990 서울대 경제학과 학사 1998 미국 UCLA 경제학과 박사 <경력> 1999 ~ 2001 한국은행 2001 ~ 2012 한국조세재정연구원 연구위원 2013 ~ 2015 통계청장 2015 ~ 2018 한국조세재정연구원 원장 현) K-정책 플랫폼 원장 현) 연세대학교 경제학과 객원교수

<학력> 부산 배정고 성균관대 경제학과 학사 성균관대 경제학과 석사 성균관대 경제학과 박사 <경력> 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원장 전) 한국사회보장학회 회장 전) 한국연금학회 회장 전) 한국경제연구학회 회장 전) 한국재정정책학회 회장 전) 국민경제 자문회의 위원 전) 규제개혁위원회 위원 전) 사회보장위원회 위원 전) 국민연금기금운용위원회 위원 전) 국민행복의료추진기획단 단장 전)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재정세제위원장 전) 7대 사회보험 통합재정추계위원회 공동위원장 전) 순천향대 글로벌경영대학 학장

<학력> 1987.03 서울 고려대학교 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 1991.03 한양대학교 법학 학사 2011.08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석사 2019.03 한양대학교 광고홍보학 박사과정 수료 <경력> 2017.01 KB 국민은행 브랜드전략부장 2021.01 KB 금융지주 브랜드 ESG 총괄(CPRO) KB 국민은행 브랜드 ESG 그룹 총괄 상무 (겸직)

<학력> 1994 미국 시카고 대학교 사회정책 박사 1990 미국 시카고 대학교 정책학 석사 1980 연세대학교 행정학과 학사 <경력> 1999 ~ 2021 대우재단 이사 2014 ~ 2015 노사정위원회 산업안전혁신위원회 위원 2013 ~ 2014 중앙대학교 도서관장 2012 ~ 2013 행정자치부 정책자문위원(조직부문 위원장) 2007 한국조직학회 회장

<경력> 현) 건강보험공단 재정운영위원 현) 중앙생활보장위원회 주거급여 소위원회 위원 현) 서울시 예산성과금 심의위원 현) 사회보장학회 이사 현) 한국여성경제학회 편집위원 기획재정부 재정사업평가 자문위원 국무조정실 국정과제 성과지표 자문단 국무조정실 정부업무평가 국정과제 평가지원단 사회보장위원회 실무위원 한국재정학회 총무이사 세종시 재정투자심의위원 세종시 지방보조금심의위원 기획재정부 재정개혁 위원 기획재정부 국고보조사업 평가위원

<경력> 2016.07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 2016.03 ~ 사회보험 통합재정추계위원회 분과위원회 위원 2016.12 ~ 공무원연금 재정추계위원회 위원 2019.07 ~ 공무원연금 연금재정자문위원회 위원 2019.07 ~ 2020.12 2020~2024 국가재정운용계획수립지원단 위원단 위원

<경력> 복지정책과장 보험정책과장 장애인정책국장 인구아동정책관

<경력> 서울 강북구 육아종합지원센터장 서울 자치구 육아종합지원센터협의회장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겸임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