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사목적
"파이낸셜뉴스가 오는 4월 18일(화)부터 20일(목)까지
‘2023 FIND(Financial Insight Network Days)'을 개최합니다.
파이낸셜뉴스는 지난 2000년부터 서울국제금융포럼과 서울국제A&D컨퍼런스 등
금융과 투자 분야 아시아 지역 최고 이벤트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올해부터는 서울국제금융포럼과 서울국제A&D컨퍼런스 행사를 'FIND'로 합쳐
한 단계 더 업그레이드 합니다. 전야제 격으로 ‘2023 FIND Night’도 열립니다.
올해 주제는 ‘글로벌 패권경쟁과 신금융질서 - 금융 지정학
(Financial Geopolitics)의 귀환'입니다.
지난 1944년 7월, 제2차 세계대전 종전과 함께 미국의 세계 패권을 알린 국제통화체제인
브레튼우즈 시스템이 탄생했습니다. 미 달러화 중심의 자유 무역 거래 질서입니다.
1971년 금본위제 폐지 후에도 우리는 50년간 미국 신용을 기반으로 한 사실상의
미 달러화 기축통화 체제인 '브레튼우즈 2.0 시대'를 살았습니다.
1989년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면서 미국은 절대 패권국가로 세계 질서를 재편했습니다.
미국은 세계 규범과 질서를 세웠고 첨단기술의 표준을 만들었습니다.
중국은 미국이 만든 무역 질서 속에서 크게 성장했고, G2 지위까지 올랐습니다.
이제 세계는 새로운 질서를 목도하고 있습니다. 격화되는 미-중 패권 경쟁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앞에 큰 세계는 쪼개지고, 지역을 중심으로 뭉치고 있습니다.
그동안 세계를 묶었던 국제 금융질서도 변하고 있습니다. 미국이 새로운 국제금융
질서를 만들지, 중국이 이에 도전할지, 아니면 제3의 질서가 생길지 짚어야 할 때입니다.
특히 4월 19일(수) 열리는 '제24회 서울국제금융포럼'에서는 미-중 패권 경쟁과
러-우 전쟁 앞에 큰 세계는 쪼개지고, 지역 중심으로 뭉치는 새로운 질서를 목도하는
현 상황에서 국내외 석학들과 함께 탈세계화 시대 한국 경제와 금융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 소통의 장을 마련했습니다.
4월 20일(목) 열리는 서울국제A&D컨퍼런스에선 새로운 글로벌 투자 환경을 살펴봅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 이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도
'아메리카 퍼스트(America First · 미국 우선주의)'를 재확인하면서 지형 변화가
불가피해졌기 때문입니다. 미국의 기술로 제3국에서 만들어 수입하는 '자원의 효율성'보다
'경제도 안보'라는 패러다임의 전환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이에 글로벌 대체투자 트렌드를 조망하는 한편 새로운 투자기회를 모색하고자 합니다.
행사개요
행사명
제24회 서울국제금융포럼
제21회 서울국제A&D컨퍼런스
주 제
글로벌 패권경쟁과 신금융질서
글로벌 금융질서의 전환,
투자 패러다임이 바뀐다
일 시
2023년 4월 19일(수)
09:00 ~ 15:30
2023년 4월 20일(목)
09:00 ~ 15:00
장 소
서울 웨스틴 조선호텔 그랜드볼룸(1F)
주 최
파이낸셜뉴스, 오크트리
파이낸셜뉴스
후 원
기획재정부,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예금보험공사, 전국은행연합회,
한국거래소, 금융투자협회, 생명보험협회, 손해보험협회, 여신금융협회,
한국예탁결제원, 한국증권금융, 코스콤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한국거래소,
금융투자협회, 한국예탁결제원,
한국증권금융, 코스콤
문 의
Financial Insight Network Days 사무국
Tel. +82-2-6965-0013, 0016 / Mail. 8amwon@fnnews.com
4월 19일(수), 제24회 서울국제금융포럼 |
||
시 간 |
구 분 |
프로그램 |
08:00 ~ 09:00 |
참가 등록 |
|
09:00 ~ 09:20 |
개막식 |
[개막사] 전재호 파이낸셜뉴스 회장
[축 사] 윤석열 대통령 (김은혜 대통령실 홍보수석 대독) 백혜련 국회 정무위원회 위원장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환영사] 존 프랭크 오크트리 캐피털 매니지먼트 부회장 |
09:20 ~ 10:00 |
기조강연 |
사공 일 세계경제연구원(IGE) 명예이사장 |
졸탄 포자르 이코노미스트 / 前 미국 재무부 선임 고문 |
||
세션1. 블록경제 시대 국제금융 |
||
10:00 ~ 10:20 |
강연 |
크리스 밀러 파이낸셜타임즈 2022 올해의 경영서적 <칩 워> 저자 |
10:20 ~ 10:30 |
특별대담 |
크리스 밀러 파이낸셜타임즈 2022 올해의 경영서적 <칩 워> 저자 이윤석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10:30 ~ 11:00 |
강연 |
토마스 무차 웰링턴매니지먼트 지정학 전략가 겸 상무이사 |
11:00 ~ 11:30 |
쉬 빈 중국유럽국제공상학원(CEIBS) 교수 |
|
11:30 ~ 12:00 |
패널토론 |
[좌 장] 신관호 고려대학교 교수 [패 널] 크리스밀러 파이낸셜타임즈 2022 올해의 경영서적 <칩 워> 저자 토마스 무차 웰링턴매니지먼트 지정학 전략가 겸 상무이사 쉬 빈 중국유럽국제공상학원(CEIBS) 교수 유승민 삼성증권 이사 |
12:00 ~ 13:00 |
오 찬 |
|
세션2. 블록경제 시대 한국의 선택 |
||
13:00 ~ 13:30 |
강연 |
크리스티안 에베케 국제통화기금(IMF) 전략·정책·검토부서장 |
13:30 ~ 14:00 |
이윤석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
14:00 ~ 14:30 |
박복영 경희대학교 교수 / 前 대통령 경제보좌관 |
|
14:30 ~ 15:30 |
패널토론 |
[좌 장] 지만수 한국금융연구원 금융지정학연구센터장
[패 널] 크리스티안 에베케 국제통화기금(IMF) 전략·정책·검토부서장 이윤석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박복영 경희대학교 교수 / 前 대통령 경제보좌관 오태동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장 |
4월 20일(목), 제21회 서울국제A&D컨퍼런스 |
||
시 간 |
구 분 |
프로그램 |
08:00 ~ 09:00 |
참가 등록 |
|
09:00 ~ 09:20 |
개막식 |
[개막사] 전선익 파이낸셜뉴스 부회장
[축 사] 김주현 금융위원회 위원장 서원주 국민연금공단 기금이사(CIO) |
세션1. 복합경쟁 시대의 투자, 어디에 어떻게 할 것인가 |
||
09:20 ~ 10:00 |
기조연설 |
올리비아 바세나 아폴로 운용 지속가능투자부문 대표 |
10:00 ~ 10:30 |
카메론 조이스 Preqin 전무(SVP) |
|
10:30 ~ 11:00 |
강연 |
구재윤 IMM 인베스트먼트 상무 |
11:00 ~ 11:30 |
프라나브 파이 3ONE4캐피탈 최고투자책임자(CIO) |
|
11:30 ~ 12:00 |
김홍진 스틱인베스트먼트 베트남사무소장 |
|
12:00 ~ 13:10 |
오찬 |
|
세션2. 글로벌 경기 침체기 새로운 투자 기회, 개별 주식 선물·옵션 |
||
13:10 ~ 13:20 |
기조연설 |
이경식 한국거래소 부이사장 / 파생상품시장본부 본부장 |
13:20 ~ 13:40 |
강연 |
마니시 자인 미래에셋증권 인도법인 리서치/법인영업총괄 |
13:40 ~ 14:00 |
메르제르 데이비드 미래에셋증권 파생상품본부 본부장 |
|
14:00 ~ 14:20 |
전 균 삼성증권 리서치센터 이사 |
|
14:20 ~ 15:00 |
패널토론 |
[좌 장] 선정훈 건국대학교 교수
[패 널] 이수영 금융위원회 자본시장과장 박찬수 한국거래소 파생상품시장본부 본부장보(상무) 전 균 삼성증권 리서치센터 이사 이효섭 자본시장연구원 금융산업실장 |
-
사공 일
세계경제연구원(IGE) 명예이사장
-
졸탄 포자르
이코노미스트 / 前 미국 재무부 선임 고문
-
크리스 밀러
파이낸셜타임즈 2022 올해의 경영서적 <칩 워> 저자
-
이윤석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토마스 무차
웰링턴매니지먼트 지정학 전략가 겸 상무이사
-
쉬 빈
중국유럽국제공상학원(CEIBS) 교수
-
신관호
고려대학교 교수
-
유승민
삼성증권 이사
-
크리스티안 에베케
국제통화기금(IMF) 전략·정책·검토부서장
-
박복영
경희대학교 교수 / 前 대통령 경제보좌관
-
지만수
한국금융연구원 금융지정학연구센터장
-
오태동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장
-
올리비아 바세나
아폴로 운용 지속가능투자부문 대표
-
카메론 조이스
Preqin 전무(SVP)
-
구재윤
IMM 인베스트먼트 상무
-
프라나브 파이
3ONE4캐피탈 최고운용책임자(CIO)
-
김홍진
스틱인베스트먼트 베트남사무소장
-
이경식
한국거래소 부이사장 / 파생상품시장본부 본부장
-
마니시 자인
미래에셋증권 인도법인 리서치/법인영업총괄
-
메르제르 데이비드
미래에셋증권 파생상품본부 본부장
-
전 균
삼성증권 리서치센터 이사
-
선정훈
건국대학교 교수
-
이수영
금융위원회 자본시장과장
-
박찬수
한국거래소 파생상품시장본부 본부장보(상무)
-
이효섭
자본시장연구원 금융산업실장

<학력> 1964.2 서울대학교 상과대 졸업 1966.6 미국 UCLA 석사 1969.9 미국 UCLA 박사 <경력> 2019.1-현재 세계경제연구원 명예이사장 1993.1-2018.12 세계경제연구원 이사장 2009.2-2012.2 제27대 한국무역협회 회장 2009.11-2011.5 대통령직속 G20서울정상회의준비위원회 위원장 2008.3-2009.4 대통령경제특별보좌관 2008.3-2009.2 대통령직속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 위원장 2000.9-2002.8 대외경제통상대사 1989-1992 IMF 특별고문 1987.5-1988.12 32~33代 재무부장관 1983.10-1987.5 대통령경제수석비서관 1983.1-1983.10 산업연구원 원장 1982.2-1983.1 KDI 부원장 1981-1982 부총리겸경제기획원장관 자문관 1980 경제과학심의회 자문관 1973-1982 KDI 재정금융실장 1969-1973 미국 뉴욕대학교 교수 1970-1971 영국 쉐필드(Sheffield)대학교 초빙교수

<현직> Global Head of Interest Rate Strategy <경력> Credit Suisse, 전략가 미국 재무부 선임 고문 IMF, 방문연구원 뉴욕연방준비은행, 증권화자금조달시장 마켓인텔리전스 팀장

<현직> 터프츠대학교 교수 <학력> Yale University, 박사 & 석사 Harvard University, 역사학 학사 <경력> American Enterprise Institute, 방문연구원 외교정책연구소, 유라시아 프로그램 국장 뉴욕-런던 소재 거시, 거점 경제 컨설팅 회사 Greenmantle, 국장 예일대학교 Brady-Johnson 프로그램, 부국장 모스코바 경제학 교육기관 New Economic School, 강사 카네기 모스코바 센터, 방문연구원

이윤석 박사는 현재 한국금융연구원에서 혁신금융연구실 소속 선임연구위원으로 재직중이다. 1995년 서울대학교에서 경제학 학사, 2005년에는 미국 일리노이대에서 경제학 박사를 취득하였으며, 2012년에는 미국 존스홉킨스대 국제대학원(SAIS)에서 객원연구원으로도 활동하였다. 1995년 한국은행에 입행하여 국제부 외화자금실에서 4년반 동안 외환보유액 운용을 하였으며, 1997년에는 뉴욕 소재 Goldman Sachs에서 3개월 동안 Summer Associate을 역임하였다. 2004~2005년에는 NBER Research Assistant로도 활동하였다. 주요 외부활동으로는 기획재정부 기금부담금운용평가단 평가위원, 국민연금기금 투자정책전문위원회 전문위원, 한국수출입은행 경영평가위원, 한국전력공사 환위험관리위원회 위원, 기획재정부 자체규제심의위원회 위원, 국무총리실 정부업무평가 전문위원, 한국금융학회 간사, 한국국제경제학회 이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위원회 활동을 역임하였다. 현재는 금융중심지 추진위원회 추진위원, 금융정보분석원 자금세탁방지 정책자문위원, 서울시 국제금융오피스 운영위원, 전북 금융산업발전위원회 위원,북한정책포럼위원, 한국경제포럼 편집위원 등을 비롯한 다양한 위원회 활동을 역임하고 있다. 2021년에는 한국의 자금세탁방지정책에 기여한 공로로 대한민국 국민포장을 수여 받았으며, 2020년에는 남북경협연구에 기여한 공로로 부총리겸 기획재정부 장관 표창을, 2015년에는 자금세탁방지에 기여한 공로로 금융위원장 표창을 수상한 바 있다. 이윤석 박사는 한국일보, 머니투데이, 아시아 경제, 금융경제신문 다양한 매체에 기고를 하였으며, 경제학 공동학술대회, 한국금융학회, 국제금융학회, 한국경제발전학회 등의 학술세미나 발표와 강원일보, 매일경제, 동아일보, 아시아경제, 아주경제 등의 언론매체와 국립외교원, 개성공단지원재단, 전략물자관리원, 서울연구원, 부산 국제금융진흥원 등 다양한 기관에서 주요 현안들에 대한 주제발표를 여러 차례 한 바 있다. 주요 논저로는 ‘글로벌 디지털금융 중심지의 개념과 추진방안’ (이병윤과 공저), ‘새로운 지급수단 출현과 결제방식의 변화가 국제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 (김정한과 공저), ‘주요 체제전환국 금융개혁 사례와 남북 금융협력에 대한 시사점’ (최이섭과 공저), ‘남북 경제협력 재추진시 금융관련 법제도적 이슈와 개선방향’ (남오연과 공저), ‘북한의 경제개발을 위한 금융 활용방안’ (박해식과 공저), ‘남북 경제협력 추진시 금융관련 법제도적 이슈와 개선방향’ (남오연과 공저), ‘글로벌 인프라 투자환경 변화와 우리나라에의 시사점’ (지만수와 공저), ‘금융 글로벌화와 금융실효환율’ (김소영과 공저) 등이 있다.

당사 글로벌 매크로 전략 그룹의 일원으로 토마스는 지정학적 리스크의 거시적 시장 영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합니다. 매크로 인사이트를 클라이언트 포트폴리오의 실행 가능한 투자 아이디어에 연결하는 데 특히 중점을 두고 내부 및 외부 커뮤니케이션 노력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토마스는 글로벌 웰링턴 고객 이벤트 및 다양한 투자 세미나에 초청되어 강연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2015년 웰링턴에 합류하기 전 토마스는 글로벌 비즈니스, 경제 및 지정학 이슈들에 중점을 둔 다양한 글들의 작가, 프로듀서 및 편집자로서 저널리즘 분야에서 성공적인 경력을 쌓았습니다. 웰링턴에 조인하기 전 토마스는 Global Post (2008년- 2015년) 에서 편집 작업을 감독하고 글로벌 비즈니스 및 경제에 대한 칼럼과 글로벌 경제 대한 매크로 기사를 작성 하였습니다. Thomas 는 뉴욕과 런던의 CNN 및 CNN International (1991-1998)에서 작가, 프로듀서 및 편집자로 일하면서 월스트리트와 미국, 신흥 시장을 포함한 세계 경제를 취재했습니다. 또한 Crain Chicago Business(2005 – 2008) 및 Time Inc.의 Business 2.0 Magazine(2001 – 2005)에서 유사한 역할을 담당했습니다. Thomas는 University of Chicago(2002)에서 국제 관계 및 경제학 석사 학위를, Michigan State University에서 영문학 학사(1991)를 취득했습니다

<현직> Professor of Economics and Finance, Wu Jinglian Chair Professor in Economics at CEIBS <학력> Columbia University, 경제학 박사 Fudan University, 학사 & 석사 <경력> 중국유럽국제경영대학원, 리서치 부학장 University of Florida, 종신 교직원 University of Virginia, 초빙 교수 국제통화기금, World Bank, 컨설턴트

신관호 교수는 서울대학교 경제학과에서 학사,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UCLA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미 캔자스대학에서 조교수를 거쳐 현재 고려대학교 경제학과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신관호 교수는 미국의 UCLA, Claremont Mckenna College 대학, 일본의 오사카 대학의 방문 교수로 연구 및 수업을 진행한 바 있으며 현재 University of Munich의 CESifo Research Fellow이다. 신관호 교수는 2001년 계량경제학회에서 수여하는 김태성 학술상과 2002년 한국경제학회에서 수여하는 청람학술상 을 수상하였다. 2010년에는 서울경제신문에서 주관한 “미래를 이끌 50인”에 선정되었고, 2011년에는 매일경제신문에서 주관한 “매경이코노미스트”에 선정되었으며, 2020년에는 한국경제신문에서 수여한 "다산경제학상"을 수상하였다. 2010년에서 2011년까지 국민경제자문회의 위원, 2013년부터 2015년까지 금융발전심의회 위원, 2020년에서 2021년까지 금융감독원 자문위원회 은행분과 위원장을 역임하였다. 그 밖에 한국은행, 국회예산정책처, 대한상공회의소, 대외정책연구원(KIEP), 한국장학재단 등의 자문교수를 역임하였다. 연구분야는 경기변동 및 성장, 금융 및 통화, 국제금융, 노동 등 다양하며, American Economic Review, Journal of Monetary Economics, Journal of Econometrics, Journal of Money, Credit and Banking, Journal of International Economics, Journal of International Money and Finance, Journal of Banking and Finance, Journal of Labor Economics 등에 논문을 게재한 바 있다.

유승민은 글로벌투자전략팀과 지정학분석팀을 맡고 있습니다. 1994년에 서울증권으로 입사하여, 1999년부터 삼성증권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현재 글로벌 자산배분 담당 수석전략가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 증권업계 최초의 지정학분석 분야의 전문가로서, 정부와 기업 등의 자문위원으로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고려대학교에서 경영학 석사학위를 취득했으며, 동 대학원에서 북한학 박사과정을 마쳤습니다.

<현직> 국제통화기금(IMF) 전략·정책·검토부서장 <학력> 프랑스 University of Auvergne, 경제학 박사 <경력> IMF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부서, 선임 경제학자 IMF의 유럽연합 지역 부대표 유럽 지역 전문 경제학자

<현직>경희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 (2013. 3.∼현재) <학력> 서울대학교대학원 경제학박사 (1998. 8. 졸업) 서울대학교대학원 경제학석사 (1991. 2. 졸업) 서울대학교 경제학학사 (1989. 2. 졸업) <경력> 한국경제발전학회 회장 (2023.2.〜현재) 대통령비서실 경제보좌관 (신방남특위 위원장) (2020.3.〜2021.5) 한국은행 객원연구위원 (2019.9.〜2020.3.) 경희대학교 국제학연구원장 (2018.6.〜2019.8) 대외경제정책연구원 국제경제실장 (2011.8.〜2013.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동서남아팀장․국제개발협력팀장 외 (2002.11.〜2011.7.) Johns Hopkins대학교 SAIS 방문학자 (2009.10.〜2010.4.) 일본 국제동아시아연구센터(ICSEAD) 객원연구원 (2008.2.〜2008.3.)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전문위원 (2000.11.∼2002.10.) U.C. Berkeley대학교 방문학자 (2000.2.∼2000.10.)

현재 한국금융연구원 거시경제연구실 선임연구위원, 금융지정학연구센터장 중국경제, 한중 경제관계, 미중 경제관계 등에 관해 연구 서울대 경제학부에서 학사(1989) 석사(1992) 박사(2000) 북경어언대학, 중국인민대학, 존스홉킨스 대학, 북경대학,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등에 유학 및 연수 LG경제연구원 책임연구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팀장 및 북경사무소장, 동아대학교 국제학부 조교수, 대통령비서실 선임행정관 등으로 근무한 바 있음. 그 밖에 국민경제자문회의 대외경제분과장 역임, 한중일 3국협력사무국 자문위원

<학력> 면목고 / 서강대(경제학) / 서강대 대학원(PMBA) <경력> NH투자증권 2015년 6월∼현재 - 리서치본부장 / 상무(2020년 12월∼) - 리서치본부 투자전략 담당 Analyst (2015년 6월~2020년 12월) LIG투자증권 2013년 투자전략팀 투자전략 담당 Analyst 우리투자증권 2002년 투자전략팀 투자전략 담당 Analyst 세종증권 1999년 투자전략팀 투자전략 담당 Analys

<현직> 아폴로 운용, 지속가능투자부문 대표 <학력> Harvard College, 문학사 우수졸업생 Yale School, 산림환경학 University of Pennsylvania’s Wharton School of Business, MBA <경력> Riverstone Holdings, Managing Director Goldman Sachs, 투자은행부 The World Bank, 환경본부

<현직> Preqin 전무 <학력> University of Manchester, 경제학 학사 공인회계사 자격 보유 <경력> 라틴아메리카 소재 International Equity Desk, 아시아 신흥시장 주식 할당 관리 베트남 소재 투자 은행, 글로벌 기관 클라이언트를 위한 투자 리서치 자료 제작

<학력> 2003 연세대학교 1998 대원외국어 고등학교 졸업 <경력> 2011.5 IMM인베스트먼트(주) - 벤처캐피탈 및 PEF(사모투자전문회사) 투자 - 투자 영역: 제약/바이오 산업, LED/디스플레이/2차전지, Infra structure 등 - 스마트팜 투자: 팜에이트/플랜티팜(2014년), Pure Harvest 등 기타 투자: 헬리녹시(Helinox), 강동냉장, 나진산업, 셀트리온 등 2008.7 삼일회계법인 FAS(Financial Advisory Service) - M&A, 기업 구조조정 업무 - 해운업, 조선업, 건설업 등 구조조정 - 대우전자, 쌍용글로벌 등 M&A 자문 2003.3 - 2005.6 대한민국 육군 중위 전역

<현직> 3one4 Capital, 최고운용책임자(CIO) <학력> Stanford University, 전기공학 석사 RV College, 전기통신공학 학사 <경력> 뭄바이 엑셀러레이터 JioGenNext 투자위원회 자문 All India Management Association 청년 협의회 부회장 교육 기술 스타트업 EdCast 선임 상품매니저 2017년 Enterpreneur Magazine 선정 35세 이하 35인 2020년 Association of International Wealth Management of India 선정 40세 이하 대체투자 전문가 40인 2020년 GQ 선정 가장 영향력 있는 인도 청년 25인

<경력> 2019년 스틱인베스트먼트 입사하기 전 그린에그인베스트먼트, 한화생명 등에서 투자업무를 수행하였으며, 그전에는 삼정KPMG, 삼일PWC등에서 전략 컨설턴트로 근무하였습니다. <학력> 서울대학교 경영학과 졸업

한국거래소 부이사장으로 파생상품시장 본부장을 맡고 있다. 2022년까지 2년 동안 금융감독원 부원장보를 역임했으며, 그전까지 금융감독원에서 자본시장감독국장, 자산운용감독국장 등을 역임했다.

<현직> 미래에셋증권, 인도법인 리서치 / 법인영업총괄 <학력> Indian Institute of Technology Madras, 엔지니어 Purdue University, MBA Hong Kong Securities and Investment Institute 증권선물거래 자격증 보유 <경력> AxisCapital Ltd. Mitsubishi UFJ Morgan Stanley

<현직> 미래에셋증권, 파생상품본부 본부장 <학력> Télécom Paris, 과학·금융수학 석사 Pierre and Marie Curie University, 재정수학 박사 <경력> 한국투자증권, ELS 트레이더 홍콩 Nomura International, Exotic Single Stock 트레이더

2002년 ~ 현재 삼성증권 리서치센터 1999년 ~ 2002년 동양종합금융증권 투자전략팀 1996년 ~ 1999년 교보증권 파생영업팀, 법인영업팀

<학력> 1996.8 ~ 2001.8 Penn. State Univ. 경제학 박사(FInancial Economics 전공) 1991.3 ~ 1993.2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제학 석사 1986.3 ~ 1990.8 고려대학교 경제학 학사 <경력> 2006.3 ~ 현재 건국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하고가 재무전공 교수 2022.3 ~ 2023.2 한국증권학회 회장 2003.1 ~ 2006.2 증권연구원(현 자본시장연구원0 연구위원 1993.1 ~ 2002.12 한국은행 행원, 조사역, 과장

<학력> 美 텍사스대 MBA 서울대학교 경제학 학사 <경력> 現) 금융위원회 자본시장과장 前) 금융위원회 시장분석과장 前) 금융위원회 가계금융과장 前) 유럽부흥개발은행(EBRD)

<학력> 아주대학교 경영학 학사 미시간주립대학교 재무학 석사 <경력>KRX 주식파생상품제도팀장 KRX 글로벌파생상품시장부장 KRX 파생상품시장 본부장보

<학력> KAIST 경영대학원 경영공학(재무) 박사 POSTECH 수학, 컴퓨터공학(복수) 학사 <경력> 자본시장연구원 금융산업실장, 선임연구위원 (2010.6 - 현재) 연구분야: 금융산업, 파생상품, 자산관리, 핀테크 국민연금 기금운용전문위원(위험관리성과보상위) (2019.3 ~ 현재) 샌디에고 주립대학교 재무학과, 방문연구원 (2018) KAIST 경영대학원 대우교수 (2010, 2011) KAIST 학생투자펀드 책임운용역 (2008 -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