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의도
지난해 노벨 생리의학상은 mRNA 기술 개발의 주역에게 돌아갔습니다.'코로나19 팬데믹'
이라는 인류가 경험해보지 못했던 전 세계적 사태 속에서 mRNA 기술은 백신에 적용돼
많은 사람들을 살리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코로나19는 7억명 이상의 확진자와 700만명이 넘는 사망자를 발생시켰지만 mRNA 기술을
이용한 백신 개발이 팬데믹 초기에 신속하게 이뤄지지 못했다면 훨씬 많은 확진자와
사망자를 기록했을 것입니다.
mRNA 기술은 백신 기술 뿐만 아니라 유전자 조절이나 암 치료제로도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이 기술을 응용한 치료제는 종양 특이 항원이나 면역 자극 분자를 코딩하는 mRNA 물질을
전달해 면역체계의 항종용 효과를 활성화시킬 수 있습니다.
mRNA 뿐만 아니라 리보핵산(RNA)을 활용하는 핵산치료제 역시 주목받고 있습니다.
암 등 대부분의 질환은 특정 단백질의 부족하거나 과다할 때 생기는데 핵산치료제는
이런 단백질을 생성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혁신적인 방식으로 치료를 합니다.
최근 항체약물접합체(ADC)가 주목받고 있지만 mRNA와 핵산치료제 역시 이에 못지 않은
성장 잠재력을 갖고 있습니다.
올해로 제16회를 맞는 서울국제신약포럼은 mRNA와 핵산치료제의 미래와 국내외 개발
트렌드를 짚어보고 발전 가능성 등을 모색하는 자리입니다. 이번 포럼에서 다뤄지는
mRNA와 핵산치료제는 국내외 여러 기업과 연구소들이 경쟁을 하는 '블루오션'입니다.
실제로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그랜드뷰리서치에 따르면 전 세계 mRNA 의약품 시장 규모는
오는 2030년 50조원에 이를 것으로 보입니다. 또 시장조사기관 리서치앤마켓에 따르면
RNA 치료제 시장은 지난 2021년에는 6조5000억원대 시장을 형성했지만 연평균 17.6%씩
성장해 오는 2030년 33조원대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시장 전망이 밝다는 것은 그만큼 기회가 많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작은 기업일지라도
mRNA·핵산치료제 연구개발(R&D)을 통해 성공적인 신약을 내놓는다면 글로벌 빅파마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잡을 수 있을 것입니다.
이에 파이낸셜뉴스와 한국화학연구원은 이번 신약포럼을 통해 장래가 촉망되는
mRNA·핵산치료제의 미래에 대해 논의하는 장을 마련하고자 합니다.
▶행사개요
행사명 : 제16회 서울국제신약포럼
주 제 : mRNA와 핵산신약의 미래
일 시 : 2024년 6월 25일(화), 09:00 ~ 14:10
장 소 : JW메리어트 호텔 서울 살롱 123홀(3F)
주 최 : 파이낸셜뉴스, 한국화학연구원
후 원 :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한국바이오협회, 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
문 의 : 서울국제신약포럼 사무국
Tel, 02)6965-0014 / E-mail, 8amwon@fnnews.com
구분 | 프로그램 | |
---|---|---|
08:30 - 09:00 | 참가등록 | |
09:00 ~ 09:05 | 개막식 | 개막사 전선익 파이낸셜뉴스 부회장 |
09:05 ~ 09:10 | 환영사 이영국 한국화학연구원 원장 | |
09:10 ~ 09:15 | 축사 오유경 식품의약품안전처 처장 | |
09:15 ~ 09:55 | 기조강연 | 김경진 에스티팜 前 대표 |
09:55 ~ 10:25 | 강연1 | 김진국 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 |
10:25 ~ 10:55 | 강연2 | <RNA변형 연구> 김병현 바이오니아 연구위원 |
10:55 ~ 11:25 | 강연3 | <RNA이용 감염병 치료> 문재수 한국화학연구원 선임연구원 |
11:25 ~ 11:55 | 강연4 | <DEL 기술> 황길태 경북대학교 화학과 교수 |
11:55 ~ 13:00 | 오 찬 | |
13:00 ~ 13:30 | 강연5 | <차세대 RNA 치료제로서 Circular RNA의 잠재성> 지현배 美레바티오 최고기술책임자 겸 대표 |
13:30 ~ 14:10 | 패널토론 | 좌장 김경진 에스티팜 前 대표 패널 정지원 식품의약품안전처 사전상담과 과장 남혁모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첨단바이오기술과 과장 김광록 한국화학연구원 의약바이오연구본부장 김진국 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 김병현 바이오니아 연구위원 |
-
김경진
에스티팜 대표
-
김진국
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
-
김병현
바이오니아 연구위원
-
문재수
한국화학연구원 선임연구원
<학력> 1996 Texas A&M University Chemistry Ph.D. 1990 서강대학교 화학 이학석사 1988 서강대학교 화학 이학사 <경력> 2017-현재 (주)에스티팜/동아쏘시오그룹 사장/대표이사 2016-2017 (주)에스티팜/동아쏘시오그룹 전무이사 2013-2015 (주)에스티팜/동아쏘시오그룹 상무이사 2002-2012 Hoffmann-La Roche, Nutley, NJ, USA 수석연구원 1998-2002 Hoffmann-La Roche, Nutley, NJ, USA 책임연구원 1996-1998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CA, USA 박사후연구원
<학력> 2004 - 2011 생명정보학 및 통합유전체학 박사, MIT 2000 - 2004 전산학 학사, 한국과학기술원 <경력> 2020 - 현재 조교수, 한국과학기술원 2017 - 2020 리서치 펠로우, Harvard Medical School / Boston Children’s Hospital 2016 - 2017 Senior Bioinformatics Analyst, Deep Genomics, Inc. (Canada) 2011 - 2015 책임연구원(병역특례),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 삼성서울병원
<학력> 1973-1977, 서울대 자연대 화학과, 학사 1977-1979, KAIST, 석사 1983-1987, University of Pittsburgh, Ph. D. 1987-1988, University of Pennsylvania, PostDoc <경력> 1979-1983, Korea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 Researcher 1980-1981, Tokyo Institute of Technology, UNESCO Fellow 1988-2020, POSTECH, 조교수, 부교수, 정교수 2015-2017, POSTECH, 대학원장 2020-현재, POSTECH, 명예교수 2021-현재, Bioneer, 올리고연구소장, 연구위원 2022-현재,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이학부장
<경력> 2019.02 - 2024.01 박사후 연구원 <학력> 2011.09 - 2018.02 연세대학교 생명공학과 분자바이러스학 석/박사 2006.03 - 2010.02 국민대학교 생명나노화학과 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