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막사
여러분 반갑습니다. 파이낸셜뉴스가 주최하는 아시아 최고의 금융포럼 '2025 FIND’ 첫째날 행사인 ‘제26회 서울국제금융포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오늘 귀하신 분들이 참석하시어 행사를 빛내주셨습니다. 먼저 축사를 해주실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님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본 행사의 공동주최사 미국 오크트리캐피탈의 존 프랭크 부회장님, 그리고 기조연설을 맡아주신 제임스 렌데이 스탠포드대 교수님과 특별대담을 진행해주실 클라라 두로디에 코그니티브파이낸스 대표께도 고마운 마음을 전합니다.
지난 2022년 11월 Chat GPT 3.5 버전이 공개된 이후 불과 2년여만에 AI는 놀라운 속도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이제 AI는 단순히 도구에 그치지 않고, 창의적 사고를 지원하고,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며, 인간과 협력할 수 있는 동반자로 자리잡게 됐습니다.
엔비디아 젠슨황 대표는 지난 1월 열린 CES 기조강연에서 ‘AI 에이전트’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리고 있음을 선언했습니다. 또 AI와 양자컴퓨팅의 융합이 미래 기술의 핵심이 될 것이라며 이를 통한 혁신 분야의 하나로 금융을 꼽았습니다.
AI와 인간이 협업하는 시대가 열리면서 AI는 ‘금융 혁신’을 이끄는 핵심 도구로 자리 잡았습니다.
세계 최대 투자은행인 JP모건은 20만명의 직원에게 업무지원 AI비서인 'LLM스위트'를 제공해 업무 효율화를 꾀하고 있습니다.
모건스탠리는 고액자산가를 위한 AI 자산관리를 지난해부터 시작했으며, 블랙록은 AI로 투자결정을 지원하고, 마스터카드는 AI로 실시간 금융사기를 적발해 내고 있습니다.
앞으로 AI가 고객 여신심사와 대출 자동승인, 금융사 포트폴리오 리밸런싱, 리스크 매니지먼트 등 핵심 의사결정에까지 관여할 날이 멀지 않았습니다.
이에 올해 금융포럼의 어젠다를 ‘AI가 바꾸는 금융의 미래’로 정했습니다. 오늘 포럼에서 AI 분야 최고의 석학과 금융권 전문가들이 AI 시대, 금융의 미래상을 펼쳐주실 것입니다. 금융이 나갈 길에 대한 인사이트와 해답을 얻어가시기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본 포럼의 발전을 위해 늘 아낌없는 관심과 격려를 보내주신 금융그룹 최고 경영자 여러분께 머리 숙여 존경과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참석자 모두의 건강과 행운을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파이낸셜뉴스 부회장 전 선 익

▶
기획의도
‘퍼스트 클래스 경제신문’ 파이낸셜뉴스는 2025년 4월 금융산업의 중심지 서울에서 아시아 최고의 금융·투자분야 이벤트 ‘2025 FIND Financial Insight Summit'을 개최합니다. FIND는 ‘제26회 서울국제금융포럼’과 ‘제23회 서울국제A&D컨퍼런스’가 함께 연계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4월 23일(수)~24일(목) 성대하게 펼쳐집니다.
금융인들의 네트워크 행사인 'FIND Night'도 마련합니다. 연기금과 증권, 보험, 사모펀드 임원급들이 한자리에 모여 소통의 시간을 갖게 됩니다.
FIND는 'AI가 바꿀 금융·자산의 미래(미래 금융 2050)‘라는 주제로 개최됩니다. FIND의 개막행사인 ‘제26회 서울국제금융포럼’은 글로벌 금융 리더 및 국내 전문가들과 함께 미래 금융의 방향을 논의할 예정입니다.
미국 대형 투자은행 골드만삭스가 ‘우리는 더 이상 은행이 아니라 테크기업’이라고 선언한 것이 벌써 10년 전입니다. 그 사이 탄생한 AI는 금융에 빠른 속도로 침투하면서 미래 금융 시장을 뒤흔들고 있습니다.
미국 대형은행 JP모건은 AI시대에 앞서 2000명이 넘는 행원을 AI전문가로 채웠습니다. 북미는 은행 분야에서 가장 큰 AI 시장으로 오는 2030년까지 3000억 달러(약 420조원)가 투자될 것이라고 전망됩니다.
제23회 서울국제A&D컨퍼런스는 사모펀드 2.0시대와 ETF의 파생상품 투자성과 및 확장 가능성 등 시장을 전망해봅니다. 특히, AI를 활용한 발전방안과 비전을 모색합니다.
향후 AI는 투자 조력자로서 수익률 제고와 투자처 물색에 핵심엔진으로 급부상할 전망입니다. 사모펀드와 상장지수펀드(ETF) 도약의 기폭제가 될 것입니다. AI가 불러일으킬 금융 투자시장의 변동성, 거시경제 변화, 당국의 규제와 육성 방안 등을 함께 논의하는 시간을 FIND에서 갖길 바랍니다.
▶행사개요
행사명 | 제26회 서울국제금융포럼 | 제23회 서울국제A&D컨퍼런스 |
주 제 | AI가 바꿀 금융의 미래 | ETF 밸류업, 파생형 투자 확장과 AI |
일 시 | 2025년 4월 23일(수) 09:00 ~ 15:30 |
2025년 4월 24일(목) 09:00 ~ 14:20 |
장 소 | 페어몬트 앰버서더 서울 그랜드볼룸 (B1F) | |
주 최 | 파이낸셜뉴스, 오크트리 | 파이낸셜뉴스 |
후 원 | 기획재정부,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전국은행연합회, 생명보험협회, 손해보험협회, 여신금융협회 |
금융감독원, 한국거래소, 금융투자협회, 한국예탁결제원, 한국증권금융, 한국공인회계사회, 미래에셋증권, 한국투자증권, NH투자증권, 미래에셋자산운용, 한국투자신탁운용, 코스콤 |
문 의 | Financial Insight Summit 사무국 Tel. +82-2-6965-0026 / Mail. 8amwon@fnnews.com |
4월 23일(수), 제26회 서울국제금융포럼
시 간 | 구 분 | 프로그램 |
---|---|---|
08:30 - 09:00 | 참가등록 | |
09:00 - 09:20 | 개 막 식 | 개막사 전선익 파이낸셜뉴스 부회장 축사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존 프랭크 오크트리 부회장 |
09:20 - 09:50 | 기조연설 | AI를 선한 용도로만 사용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 인간 중심 AI의 필요성 제임스 렌데이 스탠포드대학교 AI연구소 공동 이사 겸 교수 |
09:50 - 10:20 | 기조대담 | 좌장 김우창 한국과학기술원(KAIST) 산업공학과 교수 패널 제임스 렌데이 스탠포드대학교 AI연구소 공동 이사 겸 교수 클라라 두로디에 코그니티브파이낸스 CEO |
세션1. AI와 글로벌 금융 | ||
10:20 - 10:50 | 강 연 |
금융 산업의 생성형 AI 혁신: 금융 서비스에서의 인텔리전스 재고찰 사이먼 로우리 아마존웹서비스(AWS) 금융 서비스 총괄 |
10:50 - 11:20 | 언어 모델: 경제 및 금융 분야 활용 조지 찬 라우 거시경제조사기구(AMRO) 수석 이코노미스트 |
|
11:20 - 11:40 | 글로벌 금융그룹 모간스탠리가 AI를 바라보는 시각 김세원 모간스탠리 인터내셔날 투자은행 부문 전무 |
|
11:40 - 12:00 | 글로벌 AI 금융 시장에서 도전과 성공 이창수 올거나이즈 대표 |
|
12:00 - 13:00 | 오 찬 | |
세션2. 금융산업 AI 한계와 도전 | ||
13:00~13:30 | 강 연 | AI 금융산업 성장 전략 클라라 두로디에 코그니티브파이낸스 CEO |
13:30 - 14:00 | 금융산업 AI 한계와 도전 마틴 포드 미래학자 |
|
14:00 - 14:20 | AI 혁신과 금융의 내일 김영란 삼성화재 부사장/AI추진팀장 |
|
14:20 - 14:40 |
신선영 카카오뱅크 AI그룹 AI서비스본부장 |
|
14:40 - 15:00 |
신우석 베인앤드컴퍼니 파트너(금융부문 대표) |
|
15:00 - 15:30 | 패널토론 | 좌장 이용재 울산과학기술원(UNIST) 산업공학과 부교수 |
패널 마틴 포드 미래학자 김영란 삼성화재 부사장/AI추진팀장 신선영 카카오뱅크 AI그룹 AI서비스본부장 신우석 베인앤드컴퍼니 파트너(금융부문 대표) |
||
4월 24일(목), 제23회 서울국제A&D컨퍼런스
시간 | 구분 | 프로그램 |
---|---|---|
08:30 - 09:00 | 참가등록 | |
09:00 - 09:20 | 개 막 식 | 개막사 전재호 파이낸셜뉴스 회장 축사 이복현 금융감독원 원장 서원주 국민연금공단 기금운용본부장 |
세션 1. | ||
09:20 - 09:50 | 기조강연 | 베타를 넘어서: 액티브 운용과 디지털 자산, 파생상품을 활용한 전략에서의 ETF 혁신 켄 토조 블랙록 아시아·태평양 지역 ETF 상품그룹 총괄 |
09:50 - 10:20 | 특별강연 | 불확실한 시장 환경에서의 기회 발굴과 가치 창출 조던 크루즈 오크트리 상무이사 겸 공동 포트폴리오 매니저 |
10:20 - 10:50 | 강 연 | ETF 상품 혁신과 핵심 주제: AI와 그 이후 패드로 팔란드라니 글로벌X 리서치 헤드 |
10:50 - 11:20 | ETF시장의 현황과 운영방향 송기명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본부 본부장보/상무 |
|
11:20 - 12:00 | 패널토론 | 미국 가상자산 비축이 미칠 글로벌 대체투자시장 영향 좌장 이효섭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 패널 송기명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본부 본부장보/상무 |
12:00 - 13:00 | 오 찬 | |
세션2. | ||
13:00 - 13:20 | 강 연 | AI기술과 금융상품 시장의 미래 박주성 알파브릿지㈜ 대표이사 |
13:20 - 14:20 | 강연 및 시연 | 강연 글로벌 AI 트랜지션 현황과 금융 AI 실현을 위한 기술 시연 금융업을 위한 AI 솔루션 임상욱 스카이월드와이드(SKAI Worldwide) R&D 총괄 |
-
제임스 렌데이
스탠포드대학교 AI 연구소 공동 이사 겸 교수
-
김우창
한국과학기술원(KAIST) 산업공학과 교수
-
클라라 두로디에
코그니티브 파이낸스 CEO
-
사이먼 로우리
아마존웹서비스(AWS) 금융서비스 총괄
-
조지 찬 라우
거시경제조사기구(AMRO) 수석 이코노미스트
-
김세원
모간스탠리 인터내셔날 투자은행 부문 전무
-
이창수
올거나이즈 대표
-
마틴 포드
미래학자
-
김영란
삼성화재 부사장 / AI추진팀장
-
신선영
카카오뱅크 AI그룹 AI서비스본부장
-
신우석
베인앤드컴퍼니 파트너(금융부문 대표)
-
이용재
울산과학기술원(UNIST) 산업공학과 부교수
-
켄 토조
블랙록 아시아·태평양 지역 ETF 상품그룹 총괄
-
조던 크루즈
오크트리 상무이사 겸 공동 포트폴리오 매니저
-
패드로 팔란드라니
글로벌X 리서치 헤드
-
송기명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본부 본부장보 / 상무
-
이효섭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이용재
미래에셋증권 디지털자산솔루션팀 수석매니저
-
이정두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원
-
박주성
알파브릿지㈜ 대표이사
-
모건 마오
스카이월드와이드(SKAI Worldwide) 글로벌 CEO

제임스 렌데이는 스탠퍼드대학교 공과대학 컴퓨터공학과 교수이자, 아난드 라자라만 및 벵키 하리나라얀 석좌교수입니다. 그는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CI) 분야를 전문으로 연구하고 있으며, 스탠퍼드 인간중심 인공지능 연구소(HAI)의 공동 설립자이자 공동 이사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스탠퍼드대학교 부임 전에는 뉴욕의 코넬테크에서 정보과학과 교수(1년), 워싱턴대학교에서 컴퓨터공학과 교수(10년)로 재직했으며, 2003년부터 2006년까지는 인텔 시애틀 연구소 소장으로서 유비쿼터스 컴퓨팅 관련 선도 연구를 이끌었습니다. 또한 사용자 경험 분석 소프트웨어 기업인 넷레이커의 공동 창립자이자 최고과학책임자(CSO)로 활동했으며, 이 기업은 2004년 키노트 시스템즈에 인수되었습니다. 그 이전에는 UC버클리에서 컴퓨터공학과 부교수로 재직했습니다. 학사 학위는 UC버클리에서 전기전자 및 컴퓨터공학 전공으로, 석사 및 박사 학위는 카네기멜런대학교 컴퓨터공학과에서 취득했습니다. 그의 박사 논문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도구에 스케치 기반 접근 방식을 최초로 도입한 연구로 주목받았습니다. 렌데이 교수는 국제컴퓨터학회(ACM) 석학회원이자, ACM 산하 SIGCHI 아카데미 회원이며, SIGCHI 평생공로 연구상을 수상한 바 있습니다. 또한 미국 국립과학재단(NSF) 산하 정보·컴퓨터·공학 자문위원회 위원으로 6년간 활동했습니다. 학력 UC버클리 전기전자 및 컴퓨터공학 학사 (1990) 카네기멜런대학교 컴퓨터공학 석사 (1993) 카네기멜런대학교 컴퓨터공학 박사 (1996) 학술 직위 컴퓨터공학과 교수 인간중심 인공지능 연구소(HAI) 시니어 펠로우 Bio-X 프로그램 소속 우 차이 인간 퍼포먼스 얼라이언스 회원 우 차이 신경과학연구소 회원 행정 직위 스탠퍼드 인간중심 인공지능 연구소 공동 이사 (2024~현재) 스탠퍼드 인간중심 인공지능 연구소 부소장 (2022~2024) 스탠퍼드 인간중심 인공지능 연구소 부이사 (2018~2022) 수상 및 영예 국제컴퓨터학회(ACM) 석학회원 (2016) SIGCHI 아카데미 회원 (2011) 위원회 및 전문 활동 미국 국립과학재단 정보·컴퓨터·공학 자문위원회 위원 (2010~2016) 소속 프로그램 상징체계 프로그램(Symolic Systems Program)

학력 서울대학교 산업공학과 학사 (1999), 석사 (2001) 프린스턴대학교 경영과학 및 금융공학 박사 (2009) 경력 [교내활동] 카이스트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 원장, 2023- 카이스트 산업및시스템공학과 학과장, 2021-2022 신한-KAIST AI금융연구센터 센터장, 2019-2022 [국제학술활동] Quantitative Finance (SSCI 학술지) 편집장(Managing Editor, 2017-2022), 부편집장(Associate Editor, 2022-) Journal of Portfolio Management (SSCI 학술지) 편집위원(Editorial Board Member), 2013- Optimization and Engineering (SCIE 학술지) 부편집장(Associate Editor), 2014- [국내학술활동] 한국경영과학회 이사, 2018- 대한산업공학회 평의원, 2020-2021 [정부 및 공공분야 활동]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민간자문위원, 2023 복지부 고독사예방협의회 위원, 2023- 국민연금 5차재정계산 기금운용발전전문위원회 위원, 2022-2023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미래포럼 위원, 2022- 사회보장정보원 복지사각지대 발굴 자문위원, 2019-2020 국민연금 수탁자책임전문위원회 위원, 2018-2020 육아정책연구소 자문위원, 2018-2021 국민연금 4차재정계산 기금운용발전위원회 위원, 2017-2018 금융위 테크자문단, 2017-2018 국민연금 의결권행사전문위원회 위원, 2016-2018 [산업체 활동] 한국투자신탁운용 사외이사, 2024- 한국투자밸류자산운용 사외이사, 2024- 삼성글로벌리서치 디지털포럼 위원, 2020-2022 삼성자산운용 자문교수 2016-2021 [칼럼] 이코노미조선 “김우창의 Next Paradigm”, 2024- 이코노미조선 “김우창의 4차산업혁명 Insight”, 2019-2022

클라라 두로디에는 인공지능(AI)과 신기술을 활용한 전략 수립 및 기술 자문 분야에서 25년 이상의 경력을 보유한 전문가로, 코그니티브 파이낸스 그룹의 설립자이자 CEO입니다. 금융기술(FinTech)과 금융 산업 전반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윤리적 디지털 전환을 비즈니스 중심으로 접근하는 방식으로 주목받는 연사이자 저자입니다. 클라라는 경영진, 이사회, 사모펀드 및 벤처캐피털 회사와 그 포트폴리오 기업의 신뢰받는 자문역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금융기관, 핀테크, 기술기업, 정부기관에 AI의 윤리적 활용을 기반으로 혁신과 성장, 수익성을 도모할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AI 분야의 세계적인 사상가로 인정받는 그녀는 SIBOS, 머니 2020, 포인트제로 포럼, 이노베이트 파이낸스 글로벌 서밋, AI 월드, SCxSC, Fin/Sum, 싱가포르 핀테크 페스티벌 등 세계 유수의 행사에서 기조연사로 초청되어 왔습니다. 또한, 옥스퍼드대학교, MIT, 런던비즈니스스쿨 등에서 초청 강연을 진행했으며, 2019년에는 옥스퍼드대학교 AI 과정의 초창기 교수진으로 참여했습니다. 저술 활동에도 활발히 참여하고 있으며, 『금융 서비스 분야의 AI 해독: 이사회 및 전문가를 위한 비즈니스 인사이트』를 출간했으며, 개인 뉴스레터 Decoding AI®, 팟캐스트 Decoding AI® Podcast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녀의 학문적 관심은 신경과학, 인공지능, 투자관리의 교차점에 있으며, 2014년 이전에는 유럽계 자산운용 및 자산관리사에서 주요 리더십 직책을 역임했습니다. 또한, 미국 인증이사협회 및 영국 증권투자협회 회원이며, 영국 투자관리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옥스퍼드대학교 석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현재는 런던에 거주하며 전 세계 유수 기업들과 협력하고 있습니다. 전문 분야 AI 리스크 및 AI 거버넌스 데이터 및 기술 윤리 사이버/데이터/에너지 보안 분산형 인공지능 금융 기술 디지털 전환 전략 기업 혁신 및 성장 인공지능의 지정학 및 지경안보 디지털 경제 과학 및 혁신 정책 AI 투자 및 시장 적용 스타트업 성장, 시장 확장 및 제품 개발 다학제적 통찰 및 분석 능력 관심 분야 시스템 사고, 비판적 사고, 의사결정, 신경과학, 지능(인간 및 기계), 집단 행동 변화, 웰빙, 영양, 피트니스

아마존웹서비스(AWS) 금융 서비스 보안 및 규정 준수 아세안 총괄 및 아시아태평양-일본 수석 보안 솔루션 아키텍트 - Amazon Web Services (AWS) 사이먼 로우리는 싱가포르에 기반을 두고 AWS에서 보안 및 규정 준수 전문가 팀을 이끌어 금융 서비스 기업들의 클라우드 전환 과정이 안전하고 규정에 부합하도록 지원한다. 사이먼은 기술, 통신 및 금융 서비스 분야에서의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AWS와 고객사의 성장을 지원하고 있다. AWS 합류 이전에는 8년간 싱가포르를 거점으로 영국, 인도 및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팀을 이끌며, 미국 주요 은행의 사이버 보안 체계를 총괄하고 전사적 보안 위협 대응 및 리스크 관리를 수행했다. 또한, 그는 대형 은행들의 인프라 및 기술 팀을 주도하며 운영 혁신과 환경 개선을 통해 효율성과 견고성을 높이는 동시에 비용 최적화를 달성했다. 이외에도 사이먼은 Banks Singapore 기술 허브의 CEO 직책을 맡았으며, 리스크, CIO, CTO, CISO 및 운영 부문 전반의 지역 인력을 총괄했다. 사이먼은 10개국에서 생활하고 근무한 경험이 있으며, 2020년 팀원들과 함께 개발한 고급 신경망 기반 보안 제어 시스템으로 국제 특허 2건을 보유하고 있다. 사이먼은 스탠퍼드대학교 교육대학원, 조지아 공과대학교 경영대학원, 미시간대학교 로스 경영대학원에서 경영자 과정을 이수했다.

학력 조지아공과대학교 공과대학, 미국 애틀랜타 데이터 분석 석사 (컴퓨팅 집중), GPA 4.0/4.0 2020.08 주요 과목: 트레이딩을 위한 머신러닝, 데이터 및 시각화 분석, 고차원 데이터 분석, 계산통계분석, 베이지안 통계학,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컬럼비아대학교 경영대학원, 미국 뉴욕 금융 및 경제학 박사 1998.05 금융 및 경제학 철학석사1996.10 페루 가톨릭대학교 토목공학 학사 (최우등 졸업) 1991.01 경력 조지아공과대학교 공과대학, 미국 애틀랜타 데이터 분석 석사 (컴퓨팅 집중), GPA 4.0/4.0 2020.08 주요 과목: 트레이딩을 위한 머신러닝, 데이터 및 시각화 분석, 고차원 데이터 분석, 계산통계분석, 베이지안 통계학,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학력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졸업 경력 [M&A딜] SK스퀘어, 맥쿼리의 SK쉴더스 매각 및 SK쉴더스의 신주 발행 자문 (undisclosed) 토스뱅크의 제 3자 배정 유상증자 자문 (US$200MM) 비바리퍼블리카의 시리즈 G 제 3자 배정 유상증자 자문 (US$405MM) 솔루스의 바이오사업부분 매각 (US$300MM) 신한금융지주의 네오플럭스 인수 자문 (US$70MM) 두산인프로코어 매각자문 (US$1.5Bn) 두산모토롤 매각자문 (US$365MM) SKC의 KCF Technologies 인수 자문 (US$1.1Bn) 스카이레이크의 두산솔루스 인수 (US$550MN) SK의 베트남 빈그룹 / Vincommerce / Crown X 투자 (US$2.0Bn) SK의 베트남 마산그룹 투자 (US$400MM) SK Hynix의 Intel NAND business 인수 (US$9.0Bn) SKC의 KCF Technologies 인수 자문 (US$1.1Bn) 한라비스티온 매각 자문 (US$3.2Bn) 스타일난다의 로레알 매각 자문 (US$ 550MM) 하이닉스반도체의 SK텔레콤 매각자문 (US$3.0Bn) Lone Star Fund 의 극동건설 매각 자문 (US$660MM) 까르푸 코리아 매각자문 (US$1.9Bn) 동원의 스타키스트 인수자문 (US$407MN) 대림산업의 Milmerran Power 투자 (US$160MN) [자본시장딜] 두산로보틱스 IPO (US$318MN) KRAFTON IPO (US$3.8Bn) SK 아이테크놀로지 IPO (US$1.8Bn) 신한금융지주 제3자배정 유장증자 (Affinity, Baring PEA) (US$1.0Bn) SK 하이닉스 Global Bond Offering (US$2.5Bn) SK 보유 China Gas 주식 블록세일 (US$1.2Bn) 칼라일의 KB금융지주 EB 및 보통주 투자 및 자금조달 자문 (US$400MM) 두산 퓨엘셀 및 에너빌리트 블록세일 (US$400MM) 삼성 계열사 (삼성물산 US$524MM) 들의 삼성생명 지분에 대한 블록 세일 대한생명 IPO (US$1.5Bn) 동양생명 IPO (US$310MM) 대한전선 해외전환사채 발행 (US$160MM) 오성 LST의 해외 전환 사채 발행 (US$70MM) OCI의 해외 GDR 발행 (US$70MM) 하이닉스반도체 해외 CB 발행 (US$538MM) 하이닉스반도체 일방공모 주식발행 (US$725MM) 채권단 보유 하이닉스지분 블록세일 (US$1.3BN) SK텔레콤 ADR 발행 (US$1.0BN) 중소기업은행 GDR 발행 (US$285MN)

경력 2017.07 – 현재 | Allganize 창업자 겸 CEO 2016.10 – 2017.07 | Tapjoy 플랫폼 총괄 수석부사장 (SVP of Platforms) 2014.08 – 2016.10 | Tapjoy 퍼블리셔 분석 및 인사이트 부문 부사장 (VP of Publisher Analytics and Insights) 2010.09 – 2014.08 | 5Rocks 창업자 겸 CEO (Tapjoy에 인수)

마틴 포드는 미래학자이자 네 권의 저서를 집필한 작가입니다. 대표 저서로는 『로봇의 지배: 인공지능은 어떻게 모든 것을 바꾸는가』(2021), 『로봇의 부상: 기술과 일자리 없는 미래의 위협』(《뉴욕타임스》 베스트셀러, 2015년 파이낸셜타임즈·맥킨지 선정 올해의 비즈니스서적상 수상작, 20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 『인공지능의 설계자들: AI를 만드는 사람들의 진짜 이야기』(2018), 『터널 속의 불빛: 자동화, 가속하는 기술, 미래의 경제』(2009)가 있습니다. 그는 실리콘밸리를 기반으로 한 소프트웨어 개발 회사를 창립한 바 있습니다. 2017년 TED 컨퍼런스 메인 무대에서 진행한 ‘인공지능과 로봇 기술이 경제와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강연은 현재 300만 회 이상의 조회 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는 또한 소시에테 제네랄(Société Générale)이 개발한 ‘Rise of the Robots’ 주가지수의 인공지능 자문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으며, 이 지수는 인공지능과 로봇 기술 혁신을 주도할 주요 기업들에 투자하는 전략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마틴 포드는 미시간대학교 앤아버캠퍼스에서 컴퓨터공학 학사 학위(BSE, 1985)를, 캘리포니아대학교 로스앤젤레스캠퍼스(UCLA)에서 경영학 석사 학위(MBA, 1991)를 취득했습니다. 그는 인공지능의 발전과 그 함의에 대해 《뉴욕타임스》, 《포춘》, 《포브스》, 《애틀랜틱》, 《워싱턴포스트》,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 《가디언》, 《파이낸셜 타임스》 등에 기고해 왔으며, NPR, CNBC, CNN, MSNBC, PBS 등 다양한 라디오 및 TV 방송에 출연했습니다. 또한 그는 로봇공학과 인공지능의 급속한 발전과 이러한 변화가 미래의 경제, 노동시장, 사회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주제로 활발한 기조연설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학력 카이스트 최고경영자과정 AIM 59기 수료 (2024) 카네기멜론 소프트웨어 & 사회 시스템부 Principles of Software Architecture 수료 동아대학교 경영대학 졸업 (1993) 경력 삼성화재 CAIO, AI추진팀/부시장 (2025~) 삼성화재 CIO/부사장 (2024), CTO/IT혁심팀장/부사장 (2023) 스위스리 재보험 그룹, 그룹IT총괄CTO & Managing Director (2020-2022) 알리안츠 아시아태평양 최고IT책임자 CIO (2018-2020) 악사 아시아태평양 최고기술책임자 CTO (2010-2018) 아이엔지 아시아태평양 최고기술담당자 등 (2007-2010)

학력 1999 서울여대 영어영문학 학사 경력 2004 다음커뮤니케이션 입사 2014 카카오 전략팀 2016 카카오뱅크 입사 2020 카카오뱅크 홈개편 TF장 2022 카카오뱅크 홈서비스 서비스오너(SO) 2025 카카오뱅크 AI서비스본부 본부장

학력 MIT 슬론 경영대학원 경영학 석사 (MBA) 서울대학교 경영학과 학사 경력 2016 년 Bain & Company 코리아 부파트너로 입사 2019 년 Bain & Company 파트너 선임 Bain & Compnay 서울오피스 금융부문 총괄 대표 (2019~) 은행, 보험, 카드, 증권, 자산운용 등 국내외 주요 금융산업 전반에 걸쳐 AI 트랜스포메이션 전략,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략, 그룹 중장기 전략, 신규사업 전략, 글로벌라이제이션 전략, 옴니채널 혁신 전략 등 다수 프로젝트 수행 “목적으로 승리하는 기업” (Winning on Purpose) 감수 국내외 주요 일간지 및 경제전문지 다수 기고 활동 수행 국내 주요 금융산업포럼 keynote speaker

학력 KAIST 전산학 및 수리과학 학사 KAIST 산업및시스템공학 박사학위 경력 2024년 ACM 국제 금융인공지능 학회(ICAIF’24) 조직위원 Journal of Financial Data Science 편집자문위원 금융위원회 금융권 AI협의회 및 미래대응금융 TF 위원

경력 케니치 토조 블랙록 아시아·태평양 지역 ETF 상품그룹 총괄은 일본 내 ETF 상품 전략 수립과 iShares ETF의 상용화 및 시장 출시를 이끌고 있으며, 현지 유통을 위한 ETF 상품군의 전반적인 운영과 관리도 담당하고 있습니다. 또한, iShares ETF에 대한 전문 지식을 기반으로 내부 이해관계자 및 유통 부문을 지원하는 역할도 수행하고 있습니다. 현재 직책을 맡기 전에는 도쿄와 홍콩에서 증권대차 상품 서비스팀에서 근무했으며, 블랙록에 합류하기 전에는 리먼 브라더스와 노무라증권에서 주식운영 관련 다양한 업무를 담당했습니다.

학력 버지니아대학교에서 역사 및 정치학 학사를, 노스웨스턴대학교 로스쿨에서 법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재학 중에는 우등 졸업자 모임(코이프)의 회원이자 법학저널의 논평 및 주석 편집위원으로 활동했습니다. 경력 크루즈 상무이사는 오크트리 캐피탈의 특별상황그룹에서 상무이사 겸 공동 포트폴리오 매니저로 재직 중이며, 전략의 전반적인 운영과 투자 활동을 총괄하고 있습니다. 2001년 오크트리에 합류하기 전에는 커클랜드 앤 엘리스 법률사무소에서 변호사로 근무하며, 인수합병(M&A), 기업금융, 사모투자 분야를 전문으로 활동했습니다. 현재 크루즈 상무이사는 인터블록 게이밍, J&J 벤처스 게이밍(네바다), 메스키트 게이밍, 크로스로드 빌딩 서플라이 등 여러 기업에서 이사직을 맡고 있으며, 과거에도 다양한 산업 분야의 투자 기업에서 이사회 활동을 수행한 바 있습니다. 또한 그는 노스웨스턴대학교 로스쿨의 법률자문위원회 위원으로 활동 중이며, 버지니아대학교 재단의 명예 이사로도 참여하고 있습니다.

학력 세일럼주립대학교 버톨론 경영대학원에서 금융 및 투자관리 전공으로 MBA 학위를 취득했습니다. 경력 글로벌X ETF의 리서치, 상품 개발, 상품 기획을 총괄하며, ETF 상품 혁신을 이끌고 있습니다. 2019년 글로벌X에 리서치 담당 연구원으로 합류한 이후, 현재는 애널리스트 팀을 이끌며 시장 흐름과 투자자 수요에 부합하는 상품 전략과 로드맵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그는 유망한 투자 전략을 발굴하고, 심층적인 시장 분석을 바탕으로 이를 실행 가능한 상품 전략으로 전환하는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글로벌X 합류 전에는 캐봇 웰스 매니지먼트에서 주식 리서치 애널리스트로 근무하며, 성장 중심의 투자 전략 수립과 복합자산 포트폴리오 구성 업무를 담당했습니다.

학력 한국외대 영문학 학사 미국 메릴랜드대학교 MBA 경력 2025년 1월 유가증권시장본부 본부장보 취임 1997년 3월 한국거래소 입사
학력 KAIST 경영대학원 경영공학(재무) 박사 POSTECH 수학, 컴퓨터공학(복수) 학사 경력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 (2010.6 - 현재) 연구분야: 금융산업, 자산관리, 파생상품, 위험관리, 핀테크 국민연금 기금운용전문위원(위험관리성과보상위) (2019 ~ 현재) 한국증권학회 부회장(2023~ 현재) 한국파생상품학회 부회장(2023~ 현재) 샌디에고 주립대학교 재무학과, 방문연구원 (2018) KAIST 경영대학원 대우교수 (2010, 2011)

경력 (현) 미래에셋증권 디지털자산솔루션팀 수석매니저 (전) 미래에셋자산운용 TIGER ETF 팀장 넥스트머니(2018), 넥스트파이낸스(2019) 공동 저자

학력 고려대학교 법학과 美 Indiana University, Maurer School of Law(석사, 박사) 경력 한국금융연구원(現) 한국금융연구원 금융법연구센터장(前) 금융감독원(前) 미국 뉴욕주 변호사 IOSCO Policy Committee(4&6) Member(前)

알파브릿지㈜ 대표이사 박주성 2022 알파브릿지㈜ 대표이사 2020 에셋플러스자산운용㈜ 알파브릿지설립준비팀장 2018 에셋플러스자산운용㈜ 알파에셋팀장 2017 에셋플러스자산운용㈜ 리스크관리팀장 2018 '제3회 한경핀테크대상' 자산운용부문 최우수상 수상

2025.2 – Now 스카이월드와이드 (SKAI Worldwide) 글로벌 CEO / 사내이사 2023.11 – Now 스카이 인텔리전스 (SKAI Intelligence) 공동창업자 / 공동 대표 2020 – 2023 팬시테크 (FancyTech) 엔젤투자자 / 공동창업자 2021 – 2023 원업디지털 (1updigital) 공동창업자 2016 – 2019 D1M 엔젤투자자/ 공동 창업자 2013 – 2016 베스트핏 컨설(BestfitConsulting) 창업자 / CEO

장소 | 페어몬트 앰배서더 서울 (영등포구 여의대로 108) |
---|---|
지하철 이용 시 | - 지하철 5호선 여의나루역 1번 출구 도보 2분 - 지하철 5호선, 9호선 여의도역 4번 출구 도보 5분 |
버스 이용 시 | - 삼부아파트 (262,753,700) 도보 10분 - 여의도 환승센터 하차 : (160,162,260,261,301,320,360,600,662,871) 도보 10분 |
행사 등록 관련하여 궁금한 사항은 문의를 남겨주세요.
-
전화
02-6965-0026
-
이메일
8amwon@fn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