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막사
안녕하십니까. 반갑습니다.
파이낸셜뉴스와 디지털자산거래소공동협의체 (DAXA:닥사)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토크노미 코리아 2025’에 오신 모든 분들을 환영합니다.
먼저 선거 후 바쁘신 가운데에서도 참석하시어 이 자리를 빛내주신 국회 정무위원회 간사이신 강준현 더불어민주당 의원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기조연설을 맡아주신 프랭클린템플턴 디지털자산 부문 앤드류 크로포드 부사장님과 최근 써클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한 툴스포휴머니티(TFH)의 김동완 글로벌 재무 총괄님께도 깊은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우리는 금융 역사상 매우 중요한 변곡점에 서 있습니다. 디지털 통화 시대는 더 이상 먼 미래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세계 최대의 달러 스테이블코인 ‘테더(USDT)’의 시가총액이 1500억달러에 이르는 등 스테이블코인과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는 이미 글로벌 금융 질서를 재편하고 있습니다.
미국에서는 달러와 연동된 스테이블코인이 국경을 초월한 결제 인프라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에 따라 '스테이블코인 법안’이 입법절차를 밟고 있으며,
최근 미국 상원이 토론 종결 투표에서 관련 법안을 가결해 본회의 표결을 앞두고 있습니다.
중국은 디지털 위안화를 통해 새로운 경제 패권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유럽연합(EU)과 일본은 관련 규제를 선점하는 등 디지털 통화 질서의 주도권을 두고 경쟁하고 있습니다.
이 같은 패러다임의 전환은 국내 금융 시스템에 새로운 도전이자 기회입니다. 우리나라는 이미 세계 최고 수준의 핀테크 인프라를 갖추고 있습니다.
하지만 앞으로 디지털 통화의 주도국이 되려면 정부와 민간이 힘을 모아 더욱 치밀한 전략을 짜야 할 것입니다.
이에 이번 토크노미 코리아의 주제를 ‘디지털통화 빅뱅, 스테이블코인 대(vs) CBDC’로 정하고 디지털 화폐의 당면 과제와 대응책을 논의해 보고자 합니다.
오늘의 토론이 학술적 논쟁을 넘어, 우리나라 디지털 통화 정책의 이정표를 제시하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아울러 대한민국이 디지털 금융 시대의 글로벌 리더로 도약할 수 있는 길을 함께 고민하는 자리가 되었으면 합니다.
참석해 주신 모든 분들의 건강과 행복을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파이낸셜뉴스 부회장 전 선 익

▶기획의도
금융 패러다임이 급변하는 지금, 디지털 통화는 더 이상 미래의 과제가 아닌 글로벌 정책 및 산업 전략의 핵심 아젠다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특히 스테이블코인과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는 국가 간 통화 질서를 재편하는 핵심 변수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디지털 통화를 둘러싼 글로벌 주도권 경쟁도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미국 달러와 연동된 스테이블코인은 국경을 초월한 결제 인프라로 자리 잡았고,
중국은 디지털 위안화를 거래에 활용 중입니다. 유럽연합(EU) 및 일본은 규제 프레임워크 선점을 통해 디지털 통화 질서의 주도권 확보에 나서고 있습니다.
디지털 통화 패러다임 전환은 한국에게 위기이자 기회입니다. 강력한 핀테크 인프라를 갖춘 한국이 디지털 통화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서는 민관협력 기반의 전략이 시급합니다.
이에 ‘토크노미코리아 2025’는 ‘디지털 통화 빅뱅, 스테이블코인 vs. CBDC’를 주제로
국내외 전문가들의 전략적 논의의 장을 마련했습니다.
글로벌 자산운용사 프랭클린템플턴 디지털 자산 총괄의 기조연설을 시작으로 ‘챗GPT’ 아버지 샘 올트먼이 공동창업한 툴스포휴머니티(TFH)의
글로벌 재무 총괄이 AI 시대의 디지털 신원 인증 및 결제 통합 로드맵을 제시합니다.
또 리플의 글로벌 정책 공동총괄이자 싱가포르 블록체인 협회 산하 스테이블코인·CBDC 소위원회를 총괄하는 위원장이 정책 제언을 합니다.
한국은행, NH농협은행 등 국내 금융권 리더들도 한자리에 모여 정통 금융권의 대응 전략도 모색합니다.
특히 은행권 협력을 기반으로 한 신뢰성 높은 스테이블코인 생태계 구축 방안과 주요국의 정책 동향도 심층적으로 다룰 예정입니다.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을 둘러싼 쟁점 등 법·제도적 기반 마련에 대한 논의도 이뤄집니다.
새로운 정부 출범 직후 열리는 토크노미코리아 2025는 디지털 통화를 둘러싼 글로벌 트렌드, 정책 방향, 산업 전략을
통합적으로 조망하는 자리이자, 한국 금융산업의 미래 전략을 구상할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입니다
디지털 통화 시대의 새로운 질서를 함께 만들어갈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대합니다.
▶행사개요
행사명 : 토크노미 코리아 2025
주 제 : 디지털통화 빅뱅, 스테이블코인 vs CBDC
일 시 : 2025년 6월 12일(목), 09:00~14:00
장 소 :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 KBIZ홀(B1F)
주 최 : 파이낸셜뉴스, 디지털자산거래소 공동협의체(DAXA)
후 원 : 한국핀테크산업협회, 블록체인법학회
문 의 : 토크노미 코리아 사무국
Tel. 02-6965-0025 / E-mail. 8amwon@fnnews.com
시간 | 구분 | 프로그램 |
---|---|---|
08:30 - 09:00 | 참가등록 | |
09:00 - 09:20 | 개막식 | 개막사 전선익 파이낸셜뉴스 부회장 축사 강준현 더불어민주당 의원/국회 정무위원회 간사 환영사 오세진 디지털자산거래소 공동협의체(DAXA, 닥사) 의장 |
세션 1 | ||
09:20 - 09:40 | 기조강연 | 디지털 통화가 한국 금융에 미치는 영향 앤드류 크로포드 프랭클린템플턴 디지털자산 부사장 |
09:40 - 10:00 | 챗GPT와 월드코인 결제 통합 로드맵 노아 동완 킴 툴스 포 휴머니티(TFH) 글로벌 재무 총괄 |
|
10:00 - 10:20 | 특별강연 | 예금토큰과 디지털화폐가 바꿀 디지털 금융환경 윤성관 한국은행 디지털화폐연구실장 |
10:20 - 10:35 | 강연 |
은행권 협업을 통한 신뢰기반 스테이블코인 생태계 류창보 NH농협은행 블록체인팀 팀장/오픈블록체인DID협회 회장 |
10:35 - 10:50 | 아시아 스테이블코인 생태계의 현재와 미래 서병윤 DSRV 미래금융연구소 소장 겸 CSO |
|
10:50 - 11:05 | 디지털 방코르: 글로벌 통화질서 재설계 김종승 엑스크립톤 대표 |
|
11:05 - 11:20 | 스테이블코인이 온다, 지금 김민승 코빗 리서치센터 센터장 |
|
11:20 - 12:00 | 패널토론 | 좌장 김종승 엑스크립톤 대표 패널 앤드류 크로포드 프랭클린템플턴 디지털자산 부사장 류창보 NH농협은행 블록체인팀 팀장/오픈블록체인DID협회 회장 장보성 자본시장연구원 거시금융실 실장 서병윤 DSRV 미래금융연구소 소장 겸 CSO |
12:00 - 13:00 | Break Time | |
세션 2 | ||
13:00 - 13:20 | 강연 | RWA와 스테이블코인 등을 둘러싼 주요 기회와 과제> 라훌 아드바니 리플 글로벌 정책 공동 총괄/싱가포르 블록체인 협회 산하 스테이블코인·CBDC 소위원장 |
13:20 - 13:40 | 특별대담 | 토큰증권, 자본시장 혁신의 골든타임을 잡아라 신범준 바이셀스탠다드 대표 황현일 법무법인 세종 파트너 |
13:40 - 14:00 | 강연 | 디지털화된 자산이 가져올 투자 패러다임의 변화 김경호 한국 딜로이트 그룹 디지털자산센터 센터장 |
※상기 프로그램은 변경 될 수 있습니다.
-
앤드류 크로포드
프랭클린템플턴 디지털자산 부사장
-
노아 동완 킴
툴스 포 휴머니티(TFH) 글로벌 재무 총괄
-
윤성관
한국은행 디지털화폐연구실장
-
류창보
NH농협은행 블록체인팀 팀장/오픈블록체인DID협회 회장
-
서병윤
DSRV 미래금융연구소 소장 겸 CBO
-
김종승
엑스크립톤 대표
-
김민승
코빗 리서치센터 센터장
-
장보성
자본시장연구원 거시금융실 실장
-
라훌 아드바니
리플 글로벌 정책 공동 총괄/싱가포르 블록체인 협회 산하 스테이블코인·CBDC 소위원장
-
신범준
바이셀스탠다드 대표
-
황현일
법무법인 세종 파트너
-
김경호
한국 딜로이트 그룹 디지털자산센터 센터장

앤드류 크로포드 부사장은 현재 프랭클린템플턴 아시아태평양, 중동, 유럽 지역의 디지털 자산 이니셔티브를 총괄한다. 앤드류 부사장은 크레디트 스위스, 도이체방크, 티드만 인베스트먼트 그룹에서 임원으로 재직하는 등 금융서비스 분야에서 28년 이상의 경력을 쌓았다. 1996년에는 독립 자산관리회사인 샤드포스 파이낸셜 그룹(Shadforth Financial Group)을 설립했다.샤드포스 파이낸셜 그룹은 2014년 호주의 금융사인 IOOF에 6억5천만 달러에 인수되었으며, 인수 당시 자문하던 고객 자산 규모는 160억 달러에 달했다. 앤드류 부사장은 멜버른대학교에서 예술학사 학위를 받았고, 태즈매니아대학교에서 재무설계학 학사 과정을, 펜실베니아대학교에서 박사 과정을 이수했다. 현재는 빅토리아대학교에서 재무설계학 석사 과정을 진행 중이다.
한국외국어대학 중국어과 일리노이 주립대학 회계학 석사 Deloitte Las Vegas 회계감사 PwC New York 회계감사 Crane Partners Asset Management 투자담당 Roivant Sciences 자회사 재무팀장 (현) Tools For Humanity Corporation 글로벌 재무총괄

학력 서울대 경제학과 미시간 주립대학 경제학 석·박사 경력 국제결제은행(BIS) 파견 한국은행 디지털화폐연구팀장 한국은행 전자금융부장 (현) 한국은행 디지털화폐연구실장

OBDIA(오픈블록체인ㆍDID협회) - 2017년 4월 - 2018년 9월 농협중앙회ㆍ금융지주ㆍ은행 KDAC(한국디지털자산수탁) 2019~현재 / 협회장(2025~현재) - 블록체인오픈포럼 출범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비영리법인 설립 허가 2004~현재 / 디지털전략사업부 AI비즈니스센터 블록체인팀장(2024~현재) 2021~현재 / 기타비상무이사(2024~현재)

학력 UC San diego 국제관계학 석사 연세대학교 경제학 학사 경력 부산 블록체인 규제자유특구 위원회 위원 한국핀테크산업협회 자문위원 한국은행금융법학회 이사

김종승 대표는 현재 크립토 전략 자문 기업 xCrypton LLC를 운영하고 있으며, 기업 전략, 신기술, 통신, 크립토 생태계 분야에서 25년 이상의 경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SK텔레콤 재직 당시에는 크립토 지갑, NFT 마켓플레이스, DID 기반 모바일 전자증명(Credential) 서비스를 포함한 Web3 서비스를 출시하고, Layer 1 메인넷과의 전략적 파트너십 및 Web 생태계 확장을 위한 대규모 딜을 성공적으로 이끌며 혁신적인 블록체인 이니셔티브를 주도했습니다. 현재는 전통 금융(TradFi)과 탈중앙 금융(DeFi)의 융합을 위한 컨버전스 모델을 중심으로 금융기관 및 블록체인 프로젝트에 전략 자문을 제공하고 있으며, 실물자산 토큰화(RWA), 스테이블코인, 커스터디, 규제 대응 전략 등 다양한 금융 혁신 영역을 다루고 있습니다. 크립토 생태계와 화폐경제학에 대한 깊은 전문성을 바탕으로, 전략적 통찰력과 실행력을 결합하여 블록체인 기술의 채택과 확산을 촉진하는 데 기여해왔습니다. 또한 전통 산업 과 분산 기술을 연결하는 탁월한 역량을 통해 글로벌 금융 시스템과 Web3 환경에서의 변혁적 성장을 이끌어왔습니다. SK텔레콤 이전에는 KT와 삼일PwC에서 근무하며 전략 컨설팅 및 신기술 기반 사업 개발 경험을 쌓았습니다. 저서로는 『블록체인노믹스』(2017), 『앱경영 시대가 온다』(2010)가 있습니다.

코빗 리서치센터 설립 멤버이자 센터장을 맡고 있다. 블록체인과 가상자산 생태계에서 벌어지는 복잡한 사건과 개념을 쉽게 풀어 알리고, 다른 관점을 가진 사람들이 서로를 이해하도록 돕는 일을 한다. 블록체인 프로젝트 전략 기획, 소프트웨어 개발 등의 경력을 가지고 있다.

학력 2001 년 연세대학교 상경계열 (전공: 경제학, 경영학) 2009 년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경제학 석사 2013 년 The Ohio State University 경제학 석사 2017 년 The Ohio State University 경제학 박사 경력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 2021.4~ 한국은행 과장, 2005.1~2021.4 (경제통계국, 조사국, 통화정책국, 정책보좌관) 한국금융공학컨설팅, 2001.7~2004.8 (프로그래머, 컨설턴트)

라훌 아드바니는 리플의 글로벌 정책 공동 총괄로, 싱가포르를 기반으로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디지털 자산과 블록체인 기술의 책임 있는 혁신을 촉진하는 규제 환경 조성을 위해 규제 당국 및 정책 입안자들과의 협업과 정책 협력 활동을 총괄하고 있다. 리플 합류 전에는 12년 이상 금융 서비스 업계에 종사했으며, 가장 최근에는 국제스왑딜러협회 (International Swaps and Derivatives Association)에서 아태지역 공공 정책 총괄을 역임했다. 그전에는 블룸버그 L.P.(Bloomberg L.P.) 뭄바이, 싱가포르, 홍콩 지사에서 상장 및 장외 파생상품의 가치평가, 사업개발, 영업 등 다양한 업무를 담당한 바 있다. 현재 그는 싱가포르 블록체인 협회 산하 스테이블코인(Blockchain Association of Singapore Stablecoin) 및 CBDC 소위원회(CBDC Subcommittee) 위원장(Chair)을 맡고 있으며, 세계 블록체인 비즈니스 위원회(Global Blockchain Business Council, GBBC)의 앰배서더로도 활동 중이다. 아드바니 총괄은 싱가포르 리콴유 공공정책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뭄바이 대학교에서 무역 학사 학위를 받았다.

신범준 대표는 토큰증권(STO) 및 조각투자 기반 실물자산 유동화 플랫폼 기업인 바이셀스탠다드의 창립자이자 대표이사입니다. ‘모든 자산은 기술로 나눌 수 있어야 하며, 누구나 좋은 자산의 수익 구조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는 철학 아래, 실물 기반 디지털 자산의 제도화와 투자 인프라 구축을 선도해왔습니다. 대표 서비스 ‘PIECE’는 미술품, 채권, 저작권 등 다양한 실물 및 무형 자산을 기초로 투자 상품의 토큰화 기준을 제시하며 STO 시장을 개척하고 있습니다. 또한, 토큰증권협의회 초대 회장으로 STO 제도화, 정책제안, 규제실증 등 정책 현장에서 중심 역할을 해오고 있으며, 싱가포르 현지 법인 설립을 통해 글로벌 시장 진출도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학력 2022 연세대학교 상남경영원 연세 디지털금융가상자산 투자 최고위 과정 2017 서울 핀테크 아카데미 전문가 육성과정 2013 서강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졸업 2006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업 1999 서울 배문고등학교 졸업 경력 2016-현재 법무법인(유) 세종 2013-2016 금융위원회 자본시장조사단 사무관 2013 제2회 변호사시험 합격 2005-2010 삼성증권 상품개발팀

학력 연세대학교 영문학 학사 / 연세대학교 경영학 석사 연세대학교 경영학과 겸임교수(‘10~’16) 포스텍 블록체인 및 디지털자산 과정 수료 서강대학교 디지털자산 최고전문가 과정 수료 경력 안진회계법인 금융감사그룹 Deloitte London Office 근무(’11~’12) 계리사회 보험회계위원회 위원(’19~) 회계기준원 가상화폐 TF 위원(’22) 한국공인회계사회 가상자산 감사지원 TF 위원(‘22~) 은행연합회 COFIX 관리 위원(’23~) 한국회계학회 가상자산위원회 위원(‘24~) 한국신용정보원 마이데이터 과금 산정 협의회 위원(24~) Deloitte Digital Assets Center 센터장 (‘24~)

장소 |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은행로 30) |
---|---|
지하철 이용 시 | - 9호선 국회의사당역 3번 출구 공원방면에서 도보로 약 5분 소요 - 5호선 여의도역 3번 출구 도보 15분 |
버스 이용 시 | - 순복음교회 간선 : 263, 363, 461, 753 지선 : 5534, 5615, 5618, 5633, 5713, 6623, 7613 좌석 : 102, 1008, 5601, 7007-1 광역 : 9409 - 여의도 환승센터 간선 : 160, 162, 260, 360, 362, 363, 461, 600, 661 지선 : 5012, 5615, 5618, 5623, 6513, 6623, 6630, 6633 좌석 : 301, 320, 631, 5601 - 국회의사당 간선 : 263, 363, 461 지선 : 5615, 5618, 5711, 6623, 6633 좌석 : 1002, 1008 |
행사 등록 관련하여 궁금한 사항은 문의를 남겨주세요.
-
전화
02-6965-0025
-
이메일
8amwon@fn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