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막사
안녕하십니까. 반갑습니다.
파이낸셜뉴스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제16회 퓨처ICT 포럼에 참석하신 모든 분들을 환영합니다.
바쁘신 가운데에서도 본 포럼을 격려해 주시기 위해 참석하신 유 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님, 기조강연을 해 주실 폴 그레이시 HP 부사장님,
김성하 한국 오라클 대표이사님께 특별한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올해 글로벌 ICT업계는 AI 전환의 대격변기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검색시장 1위였던 구글은 오픈AI 등장 이후 검색시장 최강자의 위치를 빼앗길 위기에 처했습니다.
미국 AI의 아이콘이 된 오픈AI는 AI서비스만으로 글로벌 연간 수익 100억 달러를 돌파했고, 지난 5월엔 한국법인 설립을 공식화하는등 세력 확장에 나서고 있습니다.
미국 글로벌 IT기업을 뒤쫒고 있는 중국기업의 추격도 놀랍습니다.
지난해 중국 신생 스타트업 딥시크는 불과 80억원을 투입해 만든 AI를 출시, 전세계 시장에 충격을 줬습니다.
지난 2월 열린 CES 에서는 이른바 ‘레드 테크’라 불리는 중국첨단 기술 업체들의 공습도 거셌습니다. 전기 차, 로봇, 자율주행 등, 모든 첨단 분야에서 미국에 버금가는 실력자로 올라섰습니다.
그 배경에는 AI가 있습니다.
반면 그동안 IT 강국이라는 찬사를 받아온 한국은 변화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한 채 경쟁력을 잃어가고 있습니다.
최근 하버드대 “벨퍼 센터”가 발표한 “핵심 신흥 기술” 순위에서 한국의 AI 순위는 미국, 중국은 물론 독일, 영국, 프랑스, 인도 등에도 밀려 9위에 그쳤습니다.
특히 한국의 AI 점수는 14.1점으로, 1위인 미국의 90.8점, 2위인 중국의 58점과 큰 격차를 보였습니다.
새 정부는 ICT산업 육성의 무게 중심을 AI에 두고, AI분야에100조원 투자와 인재 양성, 국가 AI 데이터 클러스터 조성 등을 통해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청사진을 내놨습니다.
이를 위해 대통령실 산하에 AI 미래기획수석실을 신설해 AI 도약의 기대감을 키우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대적 생태적 변화에 발맞춰 이번 포럼의 주제를 “변화의 시대, AX 생존전략”으로 잡았습니다. AI 전환 시대를 맞아 정부와 기업이 어떤 역할을 해야할지, 학계와기업의 AI 전문가들이 좋은 의견을 주실 것으로 기대합니다.
참석자 모두의 건강과 행복을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파이낸셜뉴스 회장 전 재 호

▶기획의도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는 기존과는 다른 접근 방식으로 전 세계에 거대한 충격을 안겼다.
이제 AI에 천문학적 규모의 투자가 필수라는 믿음에 금이 생기고 누구나 오픈소스 방식의 AI 모델을 자유롭게 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전 산업 분야의 디지털 전환이 더욱 더 가속화될 전망이다.
개인의 일상은 물론 업무 생산성 향상을 넘어 사업 효율화까지 이룰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면서 기업들은 앞다퉈 디지털 전환에 속도를 내는 분위기다.
AI 전환이 모든 기업의 우선 과제로 급부상하면서 혁신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조직과 인프라에 대한 변화로도 요구가 확대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IDC는 향후 3년간 AI 지출이 전체 디지털 기술 투자 대비 1.7배 속도로 늘어나면서 2027년까지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1조6000억달러(약 2233조원) 이상의경제적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AI를 디지털 비즈니스 전략의 핵심으로 통합해 아태 기업들에는 굉장한 기회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파이낸셜뉴스는 ‘변화의 시대, AX 생존전략’을 주제로 제16회 퓨처ICT포럼을 개최한다.
기업 경쟁력을 좌우하는 AX 전략 등 시장 내 최신 이슈를 바탕으로 AI 기반 디지털 전환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 기술의 패러다임 변화, 기업 및 국가의 대응 전략, 생태계가 향후 어떻게 재편될 것인지 심도 있게 논의할 예정이다.
▶행사개요
행사명: 제16회 퓨처ICT포럼
주 제: 변화의 시대, AX 생존전략
일 시: 2025년 6월 26일(목), 09:00~14:30
장 소: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 파크볼룸(5F)
주 최: 파이낸셜뉴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후 원: 방송통신위원회,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정보통신기획평가원
한국인터넷진흥원, 정보통신산업진흥원,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문 의: 퓨처ICT포럼 사무국
Tel. 02-6965-0026
Mail. 8amwon@fnnews.com
시간 | 구분 | 프로그램 |
---|---|---|
08:30 - 09:00 | 참가등록 | |
09:00 - 09:10 | 개막식 | 개막사 전재호 파이낸셜뉴스 회장 환영사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
09:10 - 09:30 | 기조연설 |
산업을 뒤흔드는 AI 혁신 폴 그레이시 HP 부사장 |
09:30 - 09:50 | 모두를 위한 AI와 클라우드 김성하 한국오라클 대표이사 |
|
09:50 - 10:10 | 강연 | AX 시대, ICT 산업 생태계 함의 김민기 카이스트 경영전문대학원 원장/국가인공지능위원회 위원 |
10:10 - 10:30 | 엔터프라이즈 AI 를 통한 AX 실현과 가속화 김경아 한국 델 테크놀로지스 서비스 사업부 부사장 |
|
10:30 - 10:50 | 모두의 AI, 지금부터 AX! 전승록 KT 전략·사업컨설팅부문 GTM 본부장 |
|
10:50 - 11:10 | 박진원 LG CNS Agentic AI 사업팀 팀장 |
|
11:10 - 11:50 | 패널토론 | 한국 AX가 나아가야 할 방향은 좌장 모정훈 연세대학교 산업공학과 교수/한국경영과학회 회장 패널 김민기 카이스트 경영전문대학원 원장/국가인공지능위원회 위원 노창희 디지털산업정책연구소 소장 박진원 LG CNS Agentic AI 사업팀 팀장 공진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공지능기반정책과 과장 |
11:50 - 13:00 | 오 찬 | |
13:00 - 13:20 | 강연 | 물류 세대: 시대를 넘나드는 혁신 박지원 쿠팡 풀필먼트 서비스 디자인 시니어디렉터 |
13:20 - 13:40 | 미디어 콘텐츠 분야 AI 수용의 맥락과 쟁점 노창희 디지털산업정책연구소 소장 |
|
13:40 - 14:00 | 주문 경험을 바꾸는 AI 기술 윤창근 우아한형제들 AI실 실장 |
|
14:00 - 14:20 | AI와 함께 진화하는 독서 경험의 현재와 미래 방은혜 kt 밀리의서재 AI 서비스본부 본부장 |
|
14:20 - 14:30 | 경품 추첨 |
*상기 프로그램은 변동 될 수 있습니다.
-
폴 그레이시
HP 부사장
-
윤창근
우아한형제들 AI실 실장
-
노창희
디지털산업정책연구소 소장
-
박지원
쿠팡 풀필먼트 서비스 디자인 시니어디렉터
-
공진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공지능기반정책과 과장
-
모정훈
연세대 산업공학과 교수
-
박진원
LG CNS Agentic AI 사업팀 팀장
-
전승록
KT 전략ᆞ사업컨설팅부문 GTM 본부장
-
김경아
한국 델 테크놀로지스 서비스 사업부 부사장
-
김민기
카이스트 경영전문대학원 원장/국가인공지능위원회 위원
-
김성하
한국오라클 대표이사
-
방은혜
(주)케이티 밀리의서재 AI 서비스본부 본부장

폴 그레이시는 HP 아시아지역 프린트 부문 부사장이자 총괄 책임자로, HP의 커머셜 조직 내 프린트 카테고리를 이끌고 있습니다. 그는 카테고리 관리, 시장 진출 전략(Go-to-Market Strategy), 손익(P&L) 관리, 비즈니스 모델 혁신 및 각국 카테고리 운영을 총괄하고 있습니다. 현재 직책에 오르기 전까지 폴은 HP에서 13년간 다양한 직책을 역임하며, 글로벌 프린트 사업 혁신, 프린트 및 퍼스널 시스템 부문 내 카테고리 관리, 그리고 국가 단위의 리더십 등 폭넓은 경험을 쌓았습니다. 그는 리테일, 커머셜, 엔터프라이즈, 온라인 등 다양한 시장을 아우르는 카테고리 관리 및 시장 진출 전략에 대한 깊은 전문성과 통찰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HP에 합류하기 전에는 호주 하비 노먼에서 15년간 재직하며, 여러 매장의 프랜차이즈 운영과 도메인 브랜드의 사업 개발을 담당했습니다. 폴은 호주 기업이사협회 수료자이며, 현재는 빅토리아주 틴턴 그래머 스쿨의 비상임이사 및 거버넌스·리스크 위원회 위원장을 맡아 자원봉사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그는 기술이 개인과 사회에 가져오는 긍정적인 변화에 대해 깊은 열정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 가족과 함께 호주 멜버른에 거주하고 있습니다.

학력 2013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박사 경력 2025-현재 우아한형제들, AI실 실장 2021-2024 우아한형제들, 추천프로덕트팀 팀장 2019-2020 우아한형제들, 데이터과학자 2017-2018 삼성 SDS, 데이터과학자 2015-2016 우아한형제들, 데이터과학자 2013-2015 왓챠(Watcha), 데이터과학자

경력 2022-현재 디지털산업정책연구소 소장 2024-현재 한국방송학회 총무이사 2024-현재 방송통신위원회 제10기 자체평가위원 2022-현재 한국OTT포럼 연구이사 2024-현재 KBS 시청자 평가원 미디어미래연구소 센터장 역임 KAIST 경영공학부 겸직교수 역임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문화예술경영학과 겸임교수 역임

현재 쿠팡에서 풀필먼트센터 서비스디자인을 진행하고 있다. 까르푸, 홈에버, 홈플러스를 거치면서 오프라인 유통에 대해 경험했고 2016년도 쿠팡에 합류하며 온라인 유통 서비스, 그 중 풀필먼트에 대한 전문지식을 가지고 있다. 현재는 풀필먼트센터 신규 오픈 및 시스템, 프로세스, 자동화 장비 전문가로 풀필먼트센터의 서비스 디자인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경력 (현) 과기정통부 인공지능기반정책과장 (전)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산업기반과장 (전) 과기정통부 디지털인재양성팀장

경력 (현) 연세대학교 산업공학과 교수 (현) 한국경영과학회 회장 한국공학한림원 회원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박사 AT&T Bell Labs, Senior 연구원

학력 고려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기술경영학 박사과정 (Ph.D. Candidate) 경력 AI 기반 디지털 혁신 및 AX(AI Transformation) 분야 전문가 AI Scientist 및 Data Scientist 분야 다중 전문성 보유 금융, 공공, 제조 분야 고객사를 대상으로 생성형 AI 플랫폼 및 Agentic AI 서비스 구축, 운영 사업 총괄 행정안전부 범정부 AI 공통 기반 ISP(Information Strategy Planning) 사업 수행 신한카드, NH농협은행, LG전자, LG에너지솔루션 등 주요 기업 대상 생성형 AI 플랫폼 구축 사업 수행 AI 솔루션 및 기술 기반의 신규 서비스 오퍼링 개발

학력 한양대 기술경영학 석사 경력 (현) KT 전략·사업컨설팅부문 | Go To Market본부장 / 상무 (전) 한국 마이크로소프트 Specialist Team Unit | Azure Sales Director (클라우드 솔루션 사업 총괄) (전) 삼성SDS SI/NI 사업 어카운트 매니저

경력 (현) 한국 델 테크놀로지스 (부사장), 서비스 사업부 2011 - 2018 IBM Singapore (Singapore) 2000 - 2011 IBM Korea 1996 - 2000 LG- EDS (현 LG CNS) 1994 - 1996 대한항공

김민기 교수는 서울대학교에서 경제학 학사, 미국 시카고 대학교에서 경제학 석사, 박사를 취득하고 2011년부터 카이스트 경영대학에 재직하고 있다. 카이스트 서울캠퍼스 창업 및 인큐베이션 센터장을 역임했고 현재 카이스트 경영전문대학원 원장을 맡고 있다. 국가인공지능위원회 위원을 역임하면서AI 기반 미래융합산업 발굴과 비즈니스 혁신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김성하 한국오라클 사장은 2024년 1월 초 한국오라클에 합류해, 한국오라클 의 경영을 총괄하고 있다. 오라클 입사 전에는 데이터 분석 플랫폼 기업 태블로의 한국 지사장을 역임 하며, 탁월한 리더십으로 괄목할 만한 비즈니스의 성과를 거둔 바 있다. 그는 연세대학교에서 정치외교학 학사를 취득했고, 현대자동차, 어도비, SAP, IBM 등 글로벌 주요 대기업에서 마케팅 및 영업 조직 등 다양한 분야를 두 루 경험하며 역량을 쌓았으며, 프리스타일테크놀로지와 이파피루스에서 대표 를 지내며 사업 혁신을 주도했다.

경력 (현) 케이티 밀리의서재 AI 서비스본부 본부장 (전) 29CM, 위메프 커머스 플랫폼 유닛 리더 (전) SK 커뮤니케이션즈 신규 SNS 기획 담당

장소 | 콘래드 서울
(서울 영등포구 국제금융로 10) |
---|---|
지하철 이용 시 | 5호선 여의도역
5호선 여의도역 3번 출구 도보 약 15분 |
9호선 여의도역
9호선 여의도역 3번 출구 도보 약 16분 |
|
버스 이용 시 | 여의도 환승센터역 하차
간선(파랑) : 162, 261, 662, 360, 661, 262, 260, 160, 600, 753 지선(초록) : 6513, 5618, 5623, 5012, 6628, 5615, 7611 |
한국거래소 (구 증권선물거래소) 하차
간선(파랑) : 753 지선(초록) : 5713, 7613 직행 : 7007-1, 700 광역 : M7613 |
행사 등록 관련하여 궁금한 사항은 문의를 남겨주세요.
-
전화
02-6965-0026
-
이메일
8amwon@fn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