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의도
21세기 글로벌 기술 패권경쟁시대가 되면서 세계는 지식재산 전쟁터가 됐습니다.
2011년 애플이 삼성전자를 상대로 특허소송을 제기해 삼성전자가 엄청난 배상금을
지급하고 타협한 사례에서 보듯 기초기술이 앞선 기업은 후발주자의 추격을
견제하기 위해 지식재산권을 이용합니다.
우리도 지식재산 수준이 많이 올라가 국제특허출원은 세계 5위로 세계 5대 특허강국에 진입했습니다.
그러나 실제 돈이 되는 특허는 매우 적습니다.
최근 산업계에서는 특허무용론도 거론되기도 합니다. 결국 관건은 돈이 되는 특허,
즉 명품특허를 많이 만들 수 있어야 하고 이를 위해 기업들이 과감하게 투자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줘야 합니다. 기업들이 IP를 경영전략으로 활용한다면 결국 기업의 가치를
끌어올리는 좋은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
미국 S&P 500 기업에서 무형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90%에 육박하는 등 지식 기반 경제에서
무형자산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기업의 무형자산에 대한
현황이나 정보는 단편적이고 제한적입니다.
대표적인 무형 자산인 특허, 브랜드 등 지식재산(IP)에 대한 기업 공시와 관련한 제도를 수립하고
이에 대한 세부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주주, 투자자에게 정확한 투자 정보를 제공하고
기업이 적정하게 평가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를 통해 기업에서는 IP중심의 지속가능 경영이 이뤄질 수 있습니다.
이에 제15회 국제지식재산보호컨퍼런스에서는 '명품특허에 기반한 지식재산 보호·경영 전략‘이라는 주제를
다뤄보려고 합니다. 기업들이 돈 되는 특허 즉 명품특허를 만들고 또 이를 IP공시를 통해
지식재산 활용, 경영전략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입니다. IP를 전략적으로 활용하고
수익화 할 수 있는 부분까지 연결시켜 구체적으로 공시를 한다면 더 많은 투자자들이 관심을 보일 수 있고
이는 결국 기업의 가치 제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일본의 경우 도쿄증권거래소에서 수립한 기업 거버넌스코드를 통해
“이사회는 인적 자본과 지적 재산에 대한 투자의 중요성을 고려해 투자를 포함한 경영 자원의 배분과
사업 포트폴리오 전략의 실행을 효과적으로 감독”하고, “기업은 인적 자본 및
지적 재산 투자에 대한 정보를 이해하기 쉽고 구체적인 방식으로 제공해야 하며,
자사의 경영 전략 및 이슈와 일관성을 유지”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를 근거로 일본의 기업들은 IP에 대한 구체적인 전략과 정보를 공개하고 있습니다.
6월 24일에 열리는 제15회 국제지식재산보호컨퍼런스에서는 세계 최대 특허풀 관리회사인
VIA Licensing의 Heath Hoglund 대표와 일본에서 IP공시 활성화 작업을 담당했던 가나자와기술대학교
스기미츠 교수의 기조강연을 비롯해 ‘명품특허 활용을 위한 IP금융의 중요성’ 등
IP를 활용한 기업가치 제고 방안에 대한 깊이 있는 강연을 만나볼 수 있을 것입니다.
행사개요
행사명: 제15회 국제지식재산보호컨퍼런스
주 제: 명품특허에 기반한 지식재산 보호·경영 전략
일 시: 2025년 6월 24일(수), 09:00~15:00
장 소: 서울 웨스틴 조선호텔 그랜드볼룸(1F)
주 최: 파이낸셜뉴스, 특허청
주 관 : 한국지식재산보호원
후 원: 국가지식재산위원회, 대한변리사회
문 의: 국제지식재산보호컨퍼런스 사무국
Tel. 02-6965-0022
Mail. 8amwon@fnnews.com
시간 | 구분 | 프로그램 |
---|---|---|
08:40 - 09:00 | 참가등록 | |
09:00 - 09:30 | 개막식 | 개막사 전재호 파이낸셜뉴스 회장 환영사 김완기 특허청 청장 축사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위원 이광형 국가지식재산위원회 위원장 김두규 대한변리사회 회장 |
09:30 - 09:55 | 기조강연 | 세계 최대 특허풀 대표의 명품특허를 활용한 기업밸류업 전략 히스 호글런드 VIA Licensing 대표 |
09:55 - 10:20 | 일본은 왜 기업지배구조코드에 IP를 포함시켰나 스기미츠 카즈나리 가나자와 공업대학교 교수 |
|
세션 1. 명품특허 지식재산 기반 기업가치 제고 방안 | ||
10:20 - 10:50 | 강연 | 일본 기업의 지식재산 및 무형자산 공시 대응과 우수 사례 카와나 히로시 KDDI 총괄본부 프로페셔널/지식재산·무형자산 거버넌스 협회 부이사장 |
10:50 - 11:20 | 한국의 밸류업 공시 가이드라인과 지식재산 이석훈 자본시장연구원 금융산업실 실장 |
|
11:20 - 12:00 | 패널토론 | 지식재산 기반 기업가치 제고 방안과 공시제도 좌장 최 철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패널 스기미츠 카즈나리 가나자와 공업대학교 교수 카와나 히로시 KDDI 총괄본부 프로페셔널/지식재산·무형자산 거버넌스 협회 부이사장 이석훈 자본시장연구원 금융산업실 실장 이정우 IPVINE 대표이사 |
12:00 - 13:00 | 오 찬 | |
세션 2. 혁신성장을 위한 명품특허 활용·보호 전략 | ||
13:00 - 13:30 | 강연 | 명품(Bankable)특허 활용을 위한 IP금융의 중요성 최 철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
13:30 - 14:00 | 투자와 M&A를 뒤흔드는 새로운 IP Capitalism 전략 이정우 IPVINE 대표이사 |
|
14:00 - 14:30 | 기업가치 제고를 위한 IP 활용 장진호 LG전자 IP센터 상무 |
|
14:30 - 15:00 | IP활용·보호를 위한 한국형 NPE 활용 배동석 인털렉추얼디스커버리 부사장 |
※ 상기 프로그램은 변동될 수 있습니다.
-
히스 호글런드
VIA Licensing 대표
-
스기미츠 카즈나리
가나자와 공업대학교 교수
-
카와나 히로시
KDDI 총괄본부 프로페셔널/지식재산·무형자산 거버넌스 협회 부이사장
-
이석훈
자본시장연구원 금융산업실 실장
-
최철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
이정우
IPVINE 대표이사
-
장진호
LG전자 IP센터 상무
-
배동석
인털렉추얼디스커버리 부사장


학력 도쿄대학교 법정대학원 석사과정 수료 도호쿠대학교 공학대학원 박사과정 수료 (공학 박사) 지케이의과대학 의학대학원 박사과정 수료 (의학 박사) 경력 가나자와공업대학 혁신경영대학원 교수 (현직) 일본 국회 참의원 경제산업위원회 조사실 객원연구원 일본 내각부 「지식재산 및 무형자산 거버넌스 가이드라인」 전문가 위원 (현직) 지식재산연구교육재단 전무이사 (현직) 일본마케팅학회 이사 (현직) 일본지식재산법학회 이사 (현직) PwC 컨설팅(유한책임회사) 자문위원 (현직) 수상 일본 경제산업성 지식재산공로자 표창 수상 주요 업적 및 저서 일본의 새로운 국가자격으로 「지식재산관리기술자 시험」 기획 및 창설 2024년 출간한 저서 『궁극의 마케팅 도구: 지식재산』은 필립 코틀러 교수의 추천을 받음
경력 2024년 ~ 현재 지식재산 전략 담당 프로페셔널수행 2021년~ 2022년 주식회사 소라콤 사외이사 역임 2022년 시니어 엑스퍼트 2015년 지식재산실장 임명 2010년~ 2014년 지재 법무·대외업무 그룹, KDDI 종합연구소 지재 부문, 지재 전략 그룹 리더 역임 2000년 지식재산실 근무 1993년 Daini Denden 입사 외부 단체 직책 일반사단법인 지식재산·무형자산 거버넌스 협회 부이사장 수상 경력 2018년 경제산업성 장관 표창 「지식재산 공로상」 (KDDI 수상) 2023년 일본지재학회 「제20회 산업공로상」 (KDDI 수상) 2024년 특허청 「IP BASE AWARD 스타트업 지원자 부문 그랑프리」 (개인 수상)
학 력 2006.5 Ph.D. in Economics,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1999.2 서강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석사 1997.2 서강대학교 경제학 학사 경 력 2017.12 ~ 현재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 2025.01 ~ 현재 자본시장연구원 금융산업실장 2016.01 ~ 2019.05 서울IB포럼 사무국장 2006.07 ~ 2017.12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 대외활동 2022.9~현재 한국수력원자력 원전해체예비적립금 자산운용위원회 전문위원 2022.2~2024.1 한국증권학회 이사 2020.6~2022.6 예금보험공사 금융투자업권 리스크 전문위원 2020.6~2022.6 산업기술 자금 운영위원 2020.6~2022.6 공무원연금공단 대체투자위원회 대체투자위원 2011.9~2014.6 한국증권금융 신탁위원회 자문위원

학력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원 졸업 (국제경영학 전공) 영국 런던대학교 (QM) 법과대학원 졸업 (지적재산권법 전공) 영국 런던대학교 (UCL) 법과대학원 졸업 (국제금융법 전공) 미국 하버드대학교 케네디스쿨 STS 프로그램 Fellow 경력 영국법정변호사 (Bar of England and Wales) 영국 Allen & Overy, International Law Firm 영국변호사 법무법인 율촌, 영국변호사 대통령소속 국가지식재산위원회 전문위원 국무총리실 지식재산정책협의회 전문위원 한국과학기술법학회 부회장 지식재산역사이론정책학회 부회장 외교부 자체평가위원회 평가위원 지식재산금융포럼(IPFF) 위원 한국외대 법학연구소 지식재산금융센터 센터장 특허청 산업재산정보법 기본계획추진단 전문위원

이정우 대표이사는 IPVINE의 창업자이자 IP 투자 전문가로서, 9년 이상의 산업 경험과 11년 이상의 투자 경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前)대통령 소속 국가지식재산위원회 전문위원으로 활동했으며, 특허청(KIPO) 산하 공공기관 한국특허정보원에서 국가 R&D 전략기획을 수행하며 삼성, LG, 현대 등 글로벌 기업을 대상으로 IP 컨설팅을 제공한 바 있습니다. 이후 국내 최초 창의자본 펀드(1st INVENTION Capital Fund)의 운용 및 청산을 이끌었으며, 흥국증권 IB 본부에서 국내 최초 IP투자팀을 설립하고, IP 금융상품의 투자 유치 및 성공적인 Exit을 주도하였습니다. 2021년 IPVINE을 설립한 이후, IP 투자 및 컨설팅 사업을 선도하며 혁신적인 투자 전략을 통해 IP 금융 시장의 성장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또한, 특허청장상을 두 차례(2011, 2020) 수상하는 등 업계에서 공로를 인정받고 있습니다.

학력 포항공과대학교 재료금속공학과 학사 포항공과대학교 대학원 재료금속공학과 석사 George Washington Uni. of Law School 법학석사 (LL.M.) 경력 前 삼성전기 지식재산그룹 前 LG전자 IP센터 Licensing팀 팀장 現 LG전자 IP센터 IP경영담당 (상무) 現 미국 변호사 (New York)

배동석 부사장은 벤처캐피털 투자 및 글로벌 지식재산(IP) 수익화 분야의 전문가이다. 현재 IP 사업 총괄 책임자이며, 약 5000만 달러 규모의 IP 전문 사모펀드(PEF)의 펀드매니저를 겸임하고 있다. 주요 투자 포트폴리오에는 AI 기반 팹리스 반도체(NPU, GPU) 기업인 퓨리오사AI, AI 기반 바이오마커 개발 기업 토모큐브, 미국 캘리포니아 마운틴뷰에 본사를 둔 자율주행 솔루션 기업 팬텀AI 등이 포함되어 있다. 배동석 부사장은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IP 컨설팅뿐 아니라 지분 투자도 함께 진행하고 있으며, 퓨리오사AI에는 2018년부터 투자해 왔으며, 현재 기업가치는 10억 달러 이상으로 평가되고 있다. 인텔렉추얼 디스커버리(Intellectual Discovery)는 국내 대학 및 연구기관이 보유한 특허를 활용한 IP 수익화 사업에 주력하고 있으며, HEVC/VVC/5G 표준특허(SEP) 풀의 라이선서로서 Access Advance, Sisvel, Avanci 등의 글로벌 표준특허 플랫폼과 협력하고 있다.
장소 | 서울 웨스틴 조선호텔 (서울특별시 중구 소공로 106) |
---|---|
지하철 이용 시 | 2호선 이용 시(을지로입구역 7번 출구) |
1호선 이용 시(시청역 6번 출구) | |
버스 이용 시 | 롯데 백화점 앞 -간선(파랑) : N15, N30, 100, 143, 151, 152, 202, 261, 262, 405, 501, 701, 702A,702B, 705 |
롯데 영플라자 앞 - 간선(파랑) : N30, 162, 163, 201, 506 |
행사 등록 관련하여 궁금한 사항은 문의를 남겨주세요.
-
전화
02-6965-0022
-
이메일
8amwon@fnnews.com